북한산 모래 국내 건설사업 사용

입력 2004-03-05 10:35:51

북한 해주만에서 채취한 모래가 국내에 반입돼 수도권 건설사업에 사용된다.

남북한간 교역물자 정기 해상운송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국양해운㈜은 지난 2

일과 3일 각각 해양수산부와 통일부로부터 해주-김포간 모래 운송사업 허가를 받고

5일부터 모래운반선의 운항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모래운반선 야나세호(393t급)는 5일 낮 12시께 부산항을 출항, 오는

7일께 해주항에 도착한 뒤 해주만에서 채취한 모래를 싣고 8일께 김포시 대곶면 백

석해운부두에 도착할 예정이다.

단 야나세호 승선원 중 펌프기사인 일본인 선원이 북한행을 고사하고 있어 첫

출항은 6일로 미뤄질 수도 있다고 국양해운 관계자는 전했다.

한달간 총 25회 왕복운항하는 조건으로 사업허가를 받은 국양해운은 김포와 해

주간 운항시간이 16시간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할 때 이틀에 한번 왕복운항해 한달

간 총 15회 왕복운항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야나세호의 1회 최대 수송량은 850㎥으로 월간 1만2천여㎥의 해주산 모래가 반

입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인천지역 모래 채취량이 2천만㎥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모래파동

으로 늘어난 국내 수요를 잠재우는데는 모자라는 분량이다.

국양해운 관계자는 "북한산 모래 수송 사업은 2년전부터 추진해 온 사업"이라며

"한달간 모래 수송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성이 입증될 경우 모래 수송량을 늘려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95년 옹진군이 인천시로 편입된 후 인천 앞바다에서 채취한 바다모래

는 총 1억5천200만㎥로 매년 평균 1천600만여㎥의 모래가 채취됐다.(인천=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