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국수는 참으로 수더분한 음식이다. 여럿이 먹어야 맛있고, 후루룩 후루룩 먹는 소리가 더 맛있게 들리는 음식이다. 값도 저렴해 샐러리맨들의 한 끼 식사로 인기다. 대구시 수성구 신천동 귀빈예식장 주차장 맞은편에 있는 '북촌손칼국수'집 역시 부담 없이 들를만한 칼국수집이다.
칼국수에 들어가는 재료가 많다. 밀가루를 비롯해 찹쌀가루, 옥수수, 녹차, 칡, 검은 콩, 검은 깨, 흑미, 고구마, 다시마 등 10여 가지나 된다. 모두 몸에 좋고, 맛있는 재료다. 손으로 직접 반죽해 밀어 면을 뽑아낸다. 멸치와 다시마를 기본으로 조개, 새우, 오징어, 홍합 등 해물을 우려내 육수를 만든다. 해물이 풍성하게 들어갔으면서도 해물 맛이 넘치지 않는 잘 다듬어진 국물이다. 녹차가루를 섞어 푸르스름한 게 식욕을 돌게 한다.
쫄깃하고 탄력있는 면이 입안에서 부드럽게 감친다. 밀가루 외에 들어간 재료 때문인지 텁텁하지 않다. 특히 국물 맛이 시원하고 개운하다.
암퇘지 삼겹살을 조리한 수육도 맛이 그만이다. 비계가 적당히 섞인 고기를 된장과 술, 월계수 잎, 그리고 한약재 등을 넣고 우린 육수에 삶았다. 배합 배율과 삶는 시간은 절대 비밀이다. 한약재로 돼지 특유의 냄새를 없앴고, 먹기 좋게 색깔을 입혔다. 고기의 맛과 향은 살렸다. 먹기 몇 시간 전에 삶아 신선함이 맛을 더한다. 소주 안주로 찾는 사람이 많다.
해물파전이 여느 집과 다르다. 이 집에서는 쪽파를 사용해 파전을 부친다. 쪽파가 대파에 비해 맛과 향이 좋기 때문이다. 쪽파를 잘 손질해 굴과 홍합, 청양고추 등을 섞어 부쳐낸 파전은 약간 매운듯하면서도 파의 향과 해물 맛이 잘 느껴진다. 바삭바삭하게 부쳐내 고소한 맛이 더하다. 이밖에 녹두빈대떡, 잔치국수, 비빔밥도 준비돼 있다.
주인 우정애씨는 "제대로 된 음식 맛을 내기 위해 재료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며 "기본적으로 옛날 어머니가 해주시던 그 맛을 내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의:053)751-3800.
최재수기자 bio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