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공무원노동조합은 23일 기능직 공무원에 대한 신분 차별과 수당 지급의 불이익 등 문제가 심각하다며 대구시와 정부에 제도 개선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대구시 노조에 따르면 기능직공무원은 1988년 6만9천여명에서 93년 18만9천여명으로 급격히 늘었다가 98년 IMF로 4만4천여명을 감원, 지난해 14만4천여명으로 줄어드는 등 일관성없는 정책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것.
또 9등급제인 일반공무원과 달리 10등급제로 상대적인 신분차별을 받고 있고 법정 소요근무연수를 넘겨도 일반승진없이 근속승진에 그칠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자격증이나 업무환경이 같아도 기능직 공무원의 기술수당과 기술자격증의 가산점은 인정되지 않으며, 기능 6급이 일반직 9급 밑에 배치되는 등 차별이 많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같은 차별적 대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능직의 일반직 전환 기회 확대 △9등급제로 전환 △지방기능직의 5급이상 상위직 정원비율 책정 △자격증 등에 대한 가산점 인정과 특수업무 수당지급 등이 있어야한다며 대구시와 정부에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