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역사를 바꾼다'.
기후가 대형 사건사고를 일으키거나 역사의 흐름을 바뀐 사례는 부지기수다.
1952년 12월 영국 런던에서는 4일간 계속된 짙은 안개로 약 4천명이 생명을 잃었다.
물론 아황산 가스나 다른 유독 물질이 안개와 겹쳐서 일어난 재해지만 안개로 빚어진 최악의 참사였다.
태풍에 의한 재해도 엄청나다.
19세기 중엽 미국이 스페인과 전쟁을 벌일 때 매킨리 대통령은 "스페인의 전 해군보다 서인도 지방의 허리케인이 더 무섭다"고 할 정도였다.
금세기에 들어와서도 태풍으로 인해 미국에서만 1만 2천명이 희생되고 150억달러 이상의 재산손실을 보았다.
기상은 전쟁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로마진군을 계획한 카르타고의 한니발 장군은 알프스의 눈을 계산에 넣었으나 모스크바를 침공한 나폴레옹은 러시아의 폭설을 염두에 두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했다.
또 2차대전 중에도 하늘이 도운 기상조건이 작용한 적이 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때 연합군의 수뇌부는 기상전문가들의 조언을 받아 상륙시기를 잡았다.
폭풍우와 안개비가 짙게 내리고 파도가 높은 날 상륙을 시도, 마음놓고 있던 독일군을 패퇴시켰다.
기상은 신체와 감정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사뮤엘 헌팅턴이 쓴 '문명의 주요동기'라는 책에 따르면 습기가 많은 날은 화창한 날에 비해 학생들이 5배 이상 벌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또 미국 공공도서관에서는 늦겨울부터 이른봄까지는 논픽션이 두드러지게 많이 읽힌다고 한다.
기상이 폭발적인 행동의 실마리가 되는 일도 있다.
인도 종교 폭동의 3분의 1 이상이 기상이 좋지 못한 날에 집중됐다는 보고가 있다.
또 뉴욕시에 발생한 약 4만건의 사건조사 분석에서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범죄율도 증가했다.
4.19 혁명과 5.16 쿠데타도 봄에 일어났다.
봄의 기온 상승이 감정을 격동적으로 이끌어 간다고 본다면 봄의 거사가 우연만으로 여겨지지는 않을 것 같다.
이춘수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