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시간이면 대구와 성주를 연결하는 30번 국도는 늘 혼잡하다.
성주군 공무원의 90%이상이 대구 등지에서 출퇴근하기 때문이다.
성주에 직장을 두고 있지만 이들의 주거지는 대구다.
이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도 대부분 대구나 구미 왜관 등지에서 출퇴근한다.
성주초교의 경우 교사 35명 중 25명이 대구시내에서 출퇴근한다.
성주읍내에 있는 중앙초교 역시 대구 거주자가 전체 교사 20명 중 15명이다.
성주교육청도 군내 400여명의 교사 중 60%가 대구에서 출퇴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성주군내 한 초등학교 교사는 "5년마다 전근이 불가피해 그때마다 이삿짐을 싸는 것도 번거롭고 자녀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 대구에 생활 터전을 잡았다"면서 "동료 교사들도 비슷한 이유로 대도시 주거를 궐G?일반화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성주 교육청 관계자는 "대구 달서구 용산동 등 아파트 밀집지구에는 성주군지역 교사들이 옹기종기 모여 살아 '몇집 건너 성주 교사집'이라는 우스개까지 나오고 있다"며 "방과 후 학생지도 등에 적지 않은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교사들의 이 같은 대도시 거주와 출퇴근은 성주에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고령초교의 경우 교원 38명 중 5명만 고령군내에 거주하면서 자녀도 이 지역 학교에 보내고 있을 뿐이다.
외지에서 출퇴근하는 나머지 교원들은 모두 타지역 학교에 자녀를 보내고 있다.
이들 대부분의 생활 근거지는 대구다
청도군도 사정은 비슷하다.
청도초교는 32명의 교사 중 23명이 대구.경산에서 출퇴근을 하고 있고, 풍각초교는 16명의 교사 중 10명, 중앙초교는 18명 중 12명이 대구, 경산에서 출퇴근한다.
군위의 경우도 군내 전체교사 217명 가운데 152명(70%)이 인근 대도시(대구85%.안동10%.기타5%)에서 출퇴근하고 있다.
이처럼 교사들이 자신의 근무지를 외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녀교육 때문이다.
맞벌이인 양모(41) 교사는 "낮에 아이들만 집에 남겨두게 돼 걱정이 되지만 대구의 중.고교에 보내기 위해 대구에서 출퇴근하고 있다"고 말한다.
여교사 박모(43)씨는 "초등학교 저학년일 때는 자녀를 지역의 학교에 보내지만 중학교에 입학할 시점이면 대부분 대구로 나간다"고 말했다.
이 교사는 "대구에 가면 공부를 더 잘하겠지 하는 기대도 있지만 주위에서 너도나도 대구로 떠나다보니 그냥 남아있기는 불안하다"고 덧붙인다.
경북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대도시 전학을 막기 위해 '내고장 학교 보내기' 운동을 펴고 있으나 교사들마저 외면하는 중소도시 및 농촌 학교에 학생들을 남으라고 강요할 수도 없다"며 "명문고 육성 등 교육여건이 개선되지 않는 한 교사와 학생의 역외 유출은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교사들의 지역학교 외면에 학부모들은 "교사들의 마음이 떠난 터에 높은 교육의 질을 기대하는 것은 욕심"이라고 말했다
교사들뿐 아니라 대구 인근 시.군 각 관청에 근무하는 공무원들 중 상당수가 대구에 생활근거지를 두고 출퇴근한다.
군위의 경우 군청 공무원을 비롯한 경찰.교육청.농협 등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1천여명 이상의 직장인 중 70∼80%는 주민등록만 지역에 두고 대부분 칠곡.대구 등에서 출퇴근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읍소재지는 밤이면 '죽음의 도시'를 방불케 한다.
군위의 한 주민은 "형편이 되는 사람은 모두 떠난다.
남아 있으면 왠지 잘못하는 게 아닐까 걱정된다"고 말한다.
군위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이 같은 지역외면 현상은 지역제한 교육학군제 때문"이라며 "시골초등학교를 졸업하면 시골 중학교 밖에 진학할 수 없어 일찌감치 떠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농촌지역의 중등학교 교사는 농어촌지역 도서.벽지 근무 교사들에게 별도의 수당을 지급하거나 병역특례 혜택을 부여하는 등 보다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구 생활권인 성주.군위.청도.고령 등 대구 인근 시.군지역의 많은 주민들은 오늘도 자녀교육을 위해 대구로 이사하거나 이중생활을 감수하고 있다.
이에 따른 교육비.생활비 부담도 만만치 않다.
최봉국.김인탁.강병서.정창구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