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27일 춘추관에서 신임각료들을 배석시킨 가운데 직접 조각인선 과정과 배경을 설명했다.
대통령이 조각배경을 직접 설명한 것은 우리 헌정사상 전무한 일로 파격적인 국정운영방식이면서도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노 대통령은 배석한 각료들을 쳐다보면서 "한분 한분 놓고보면 이런 저런 흠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금 노무현 정부의 초기에 해야될 일을 하는 데에는 적절한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장관 임기를 보장해 줄 것이냐'고 묻자 "분위기 쇄신용 개각은 하지않겠다"고 단언하면서 "분명히 책임을 져야할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책임을 묻겠지만 가급적 오래 책임지고 일하도록 하겠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보통 2년이상 임기를 드려서 하나의 구상을 어느 정도 정착시킬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파격인사'라는 지적에 대한 노 대통령은 분명한 어조로 반박했다.
그는 "이번 인사가 파격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을 파격적으로 보는 시각이 타성에 젖어있다고 생각한다"면서 "언제나 그 분야에 관록을 쌓아오고 경험을 쌓은 다음 50대나 60대가 돼서야 비로소 장관이 될 수 있다고 본다면 우리 사회의 도도한 변화의 흐름을 담아낼 수 없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강금실 법무장관과 김두관 행자부장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설명했다.
그는 김 행자장관에 대해 "지방분권을 지향한다.
그리고 우리 공직사회의 새바람을 희망한다"면서 "변화를 지향하는 우리 사회의 흐름에 부응하고자 하는 하나의 상징적 의미도 아울러서 고려했다"고 말했다.
이어 "행정자치부가 해야할 일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지방분권이라며, 분권의 영역에 있어서 확실한 경험과 비전을 가지고 있고 또한 개혁적 의지를 가진 김 장관을 임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법무장관에 대해서는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로잡으려고 한다"며 "법무부를 검찰청으로부터 독립시키려고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법조계에 있는 서열주의 풍토가 해소되기를 바란다"면서 "무리하게 할 생각은 없지만 (대통령인 )제가 그 서열주의를 존중할 의무는 없다"고 말했다.
이 대목에서 노 대통령은 "그럴 이유는 없다.
존중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법무부장관이 몇기가 되든 검찰은 소신껏 자기 직무를 다해주시기를 바란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