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평화적 해결 한·미·일 공조 지속

입력 2003-02-26 12:25:28

노무현 대통령이 25일 취임식 직후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와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 등 한반도 주변 4강국 축하사절들과 연쇄회담을 갖는 등 첫 정상외교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노 대통령은 특히 이날 고이즈미 총리와 파월 장관과 대북정책과 한미관계의 재정립에 대해 심도높게 의견을 교환했다.

노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미일 공조가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북한을 대화의 길로 이끌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만드는 것이 동북아의 평화에 중요하다는데 공동노력을 하기로 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북한을 고립시키지 않아야 하며 남북관계와 미일동맹관계를 고려, 북한과 대화하겠다"고 말했다고 송경희 대변인이 전했다.

이 자리에서 고이즈미 총리는 노 대통령의 일본 방문을 요청했고 노 대통령은 빠른 시일내에 방일하겠다고 수락했다.

파월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상황이 변화하면 주한미군 주둔도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합리적 변화일 수 있으나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투자자들이 투자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면서 "사전에 협의해주면 조정할 것은 조정하고 국민들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미국내 반한감정을 의식,"우리 국민은 미국을 좋아하고 나도 미국을 좋아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파월 장관은 "미국은 전쟁을 할 생각이 없고 전쟁을 준비하고 있지도 않다"면서 "만약의 경우 전쟁이 일어났을 때 서울에 미치는 영향을 잘 알고있고 동맹국인 만큼 일방적으로 결정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첸치천 중국 부총리와 셰르게이 밀로노프 러시아 상원의장과도 만나 북핵문제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독자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첸치천 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 북핵 불허용과 대화를 통한 해결원칙을 강조한 뒤 이 과정에서 중국의 역할을 요청했다.

이어 밀로노프 상원의장을 접견해서는 "북한에는 안전과 경제, 특히 경제중에서도 에너지 문제가 있는데 러시아가 이 문제에 있어서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