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예금 금리가 사상 최저 행진을 계속하고 있다.
은행들이 예금을 받아도 마땅히 굴릴 곳이 없어 금리를 계속 낮추자 실질 금리도 바닥을 모르게 떨어지고 있다.
하나은행은 26일부터 1년만기 정기예금 고시금리를 연 4.0%에서 3.5%로 0.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달 물가상승률 3.8%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세금을 감안하지 않아도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가 됐다.
은행에 돈을 맡기고 그냥 놔둘 경우 시간이 지나면 물가와 세금 때문에 원금을 까먹게 된다는 의미다.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3%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사상 처음이어서 더욱 주목을 끈다.
우리은행도 25일부터 보통예금 등 입출금식예금과 정기적금 등 적립식예금 금리를 0.1~0.5%포인트 인하했다.
정기적금 등 적립식예금은 기간에 따라 종전 4.6~5.3%에서 4.5~5.0%로 0.1~0.3%포인트 낮아졌다.
국민은행은 지난 19일부터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연 4.6%에서 4.4%로 0.2%포인트 내렸다.
1년만기 예금금리는 작년 11월 이후로 두차례 인하돼 3개월만에 연 4.85%에서연 4.4%로 0.45%포인트나 낮아졌다.
대구은행은 다음 달 중순쯤 1년만기 정기예금 금리를 연 4.6%에서 4.5%로 낮추는 등 예금금리를 인하할 방침이다.
한국은행의 '1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은행의 잔액기준 예금 평균금리는 4.23%로 작년 12월(4.29%)에 비해 0.06%포인트 떨어졌다.
그러나 대출 평균금리는 7.43%에서 7.39%로 0.04%포인트 내려 예금금리 인하폭에 못미쳐 은행들이 예대마진 챙기기에 혈안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지난 달 은행에 신규로 들어온 저축성예금 평균 금리(수시입출금식 예금 제외)는 연 4.63%로 전달보다 0.06%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1996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 상품별로는 정기예금 금리가 연 4.65%로 전달보다 0.06%포인트 낮아진 것을 비롯해 정기적금(-0.06%포인트).상호부금(-0.04%포인트).주택부금(-0.06%포인트) 등의 금리도 일제히 하락했다.
이대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