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현 대구테크노파크 단장

입력 2003-02-25 09:57:28

"대학과 연구소가 R&D(연구·개발)의 중심기관이라면, 테크노파크는 R&D 성과물을 산업화와 연계시키는 중심기관이며, 대구테크노폴리스는 테크노파크의 상위개념으로서 과학기술 도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테크노폴리스는 대학, 연구소, 기업뿐 아니라 교육, 금융, 레저, 문화, 각종 컨설팅 등 광범위한 인프라를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이종현 경북대 교수(제 1대 대구테크노파크 사업단장)는 "지역대학 발전 계획과 테크노파크 사업, 테크노폴리스 계획을 별개의 사안으로 추진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라고 말했다.

"대구/경북이 진정한 의미의 테크노폴리스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 정치권, 여·야, 시·도, 각 대학, 초·중등 교육기관, 경제계 모두가 사적 이익을 초월해 지역사회 발전이라는 대의를 위해 참여하는 총체적 관점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타이완 신주와 타이난 과학단지의 경험은 이를 실체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테크노파크 사업에 대한 이 교수의 열정은 남다르다.

1994년 경북대 전자·전기분야를 국책공과대학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획작업을 하던 중 테크노파크 설립에 대한 연구와 방안이 진행됐던 것. 이때 '테크노파크'라는 명칭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1995년 6월 경북대 산·학·연 협동추진위원회가 조직되고, 이듬해 6월 경북대테크노파크사업단이 출범했다.

1997년 5월 산업자원부(당시 통상산업부) 시범테크노파크사업 추진위원회가 결성되고, 1998년 전국 6개 시범테크노파크가 재단법인으로 출범해 오늘에 이르게 된 결정적 역할을 한 셈이다.

이 교수는 현재 아시아 40여개 사이언스파크(=테크노파크)가 참여하고 있는 아시아사이언스파크협의회(ASPA) 회장 및 전국테크노파크협의회 고문을 맡고 있다.

"대구테크노파크 사업이 없었더라면 성서첨단산업단지와 각 대학 및 대구벤처센터 등에서 급성장하는 있는 벤처기업들도 없었을 것입니다.

다만 3년만에 하드웨어 인프라를 완성하고, 이후 대형 국책연구소와 연구센터를 유치하겠다는 당초 계획이 문희갑 전 대구시장과의 갈등으로 늦춰진 것이 아쉽습니다".

이 교수는 가장 시급한 과제로 테크노파크 사업을 대구테크노폴리스 계획으로 확대, 발전시킬 수 있는 인물을 테크노파크 사업 책임자로 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테크노파크 사업단장은 '비전'과 '용기'를 가져야 합니다.

우리나라와 아시아, 세계경제의 흐름속에서 우리지역이 나갈 방향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고, 지방정부는 물론 중앙정부 및 해외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어 대외교섭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열정을 갖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용기와 의지는 특히 중요합니다".

석민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