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청와대 진용구축 '의미'

입력 2003-02-24 12:00:02

노무현 대통령당선자가 23일 정책실장에 이정우 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를 임명함으로써 새로운 청와대 진용구축이 사실상 완료됐다.

이로써 청와대는 문희상 비서실장내정자와 같은 장관급인 이 정책실장, 라종일 국가안보보좌관의 3인이 이끌어가는 체제로 재편됐다.

막판까지 진통을 겪은 정책실장에 이 간사가 임명된 것은 경제를 중시하면서도 재벌개혁 등 개혁정책을 원칙대로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노 당선자 주변에서 관료출신이 정책실장에 임명돼서는 노 당선자의 핵심개혁과제 등 개혁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개혁성향이 강한 이 간사가 낙점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인수위 정순균 대변인은 "내부 다면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이 나왔고 노 당선자와 국정철학과 가치를 공유해 왔으며 재경부를 안정적으로 운영한다면 정책실은 개혁적으로 간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 간사의 정책실장 임명은 대구지하철 참사이후 노 당선자가 대구지역민심수습방안을 두고 고심했었다는 점을 감안한 인사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배려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청와대와 조각에 극소수가 참여함에 따라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인수위원들의 허탈감을 감안하기도 했다는 지적이다.

노 당선자는 '개혁-안정'의 장.차관 인선기준에 맞춰 정책수석에는 재경부 출신의 권오규 조달청장을 포진시켰다.

정책실은 개혁성을 앞세웠지만 통일외교안보부문에서는 안정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국가안보보좌관에는 외교전문가이자 노 당선자와 철학을 공유해 온 라종일 주영대사를 포진시켰고 외교보좌관과 국방보좌관에는 각각 정통외교관료와 국방관계 전문가를 기용했다.

결국 전체적인 청와대 인사는 측근을 적극적으로 기용, 개혁성을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전문가들의 역할이 필요한 자리에는 전문관료들을 기용한 인사라는 분석이다.

차관급이상 청와대 인사는 지역적으로 부산.경남출신이 5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 1명 다른 지역은 1~2명으로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1, 2급 비서관급을 포함한 전체 청와대 인사의 출신지역적 분포는 호남이 13명(전남 6, 전북 6, 광주1)으로 현정부에 이어 여전히 가장 많았고 부산.경남이 9명으로 호남과 PK가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대구.경북은 4명(이 정책실장과 박기환 지방자치비서관, 최은순 국민제안비서관, 곽해곤 국정모니터 비서관)에 그쳤다.

노 당선자는 이날 시내 한 호텔에서 청와대에서 함께 할 참모진과 워크숍을 갖고 "여러분은 저와 큰 흐름을 함께 해온 동지"라며 단합을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