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세상에는 참사가 없겠지요. 이제 평안히 쉬소서".
대구지하철 참사 희생자 7명의 첫 장례식이 20일 오전 파티마, 곽병원 등 대구지역 6개병원 장례식장에서 치러졌다. 불의의 사고로 유명을 달리한 고인들의 마지막 가는 길은 그야말로 '눈물길'이었다.
이날 장례식이 치러진 희생자는 김창제(68·대구 입석동·가야기독병원), 원경미(30·여·방촌동·곽병원), 노영준(34·본리동·조광병원), 이경숙(19·여·대명동·조광병원)씨 등 시민 4명과 지하철 공사직원 장대성(34·파티마병원)·정연준(37·대명동·가톨릭병원)·최환준(34·지산동·효심병원)씨 등 모두 7명.
이번 참사 때 임무를 수행하다 순직한 장대성씨의 영결식이 있은 20일 새벽 파티마병원 장례식장에서 가족·친지·동료들은 고인을 보내지 못하겠다며 관을 붙잡고 오열했다.
"대성아, 이게 무슨 일이냐...가면 안된다". 관이 버스로 옮겨지자 어머니는 아들의 이름을 목이 쉬도록 불렀고 임신중인 아내는 실신했다.
가톨릭병원에 차려진 정연준씨(대구지하철공사 통신역무사업소 직원)의 빈소에서는 유족과 친지, 동료 등 60여명이 고인의 마지막길을 지켜봤다.
정씨는 6세, 3세된 아들을 뒀는데 장남 동현 군은 의연한 모습으로 아버지의 마지막길을 지켜봐 주변사람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했다.
정씨의 유해는 경북 경산시 와촌면 대동리 장지로 향했다.
대구 효목2동 효심병원에선 역시 대구지하철공사 직원인 최환준(34)씨 영결식이 열렸다.
유가족은 "미혼인 최씨는 평상시 조용한 성격에 직장생활도 성실하게 근무해 왔다"며 "이렇게 착한 사람이 왜 비참하게 죽어야 하나"며 흐느꼈다.
원경미(30)씨의 장례가 치러진 곽병원 장례식장에서 남편 이재동(32)씨는 "여보, 나는 당신을 못보내오"라며 절규했다.
발인이 시작되자 가족들은 참았던 울음을 한꺼번에 터뜨려 주변은 한 순간에 눈물 바다가 됐다.
오전 7시45분 고인의 유해는 대구 시립화장터로 향했다.
김창제(68·대구 입석동)씨의 영결식이 있은 가야기독병원 장례식장도 슬픔을 가누지 못한 유족들의 오열이 이어졌다.
사고가 나던 시각 김씨는 휴대전화로 아내에게 "하늘나라에 간다"는 말을 남겼다.
김씨의 유해를 실은 장례차는 대구 현풍 장지로 향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