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9일 밝힌 지도체제 설문결과에 대해 일부 지역의원들이 반발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지난 18일 연찬회에서 지도부 구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당원 직선에 의한 대표 1인과 60여명의 운영위원회가 당 최고의결기구가 되는 방안에 대해 회의참석자 과반수가 찬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대구·경북 의원들은 운영위원회 제도가 "다가오는 총선을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하는 한편 지역대표 배분의 형평성 문제를 집중 제기하고 있다.
이 방안이 확정될 경우, 일부 지역의원의 집단반발 움직임까지 예상돼 논란이 확산될 전망이다.
'운영위원회 제도 불가론'을 주장하고 있는 정창화, 현승일 의원은 "다가올 총선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당의 구심점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며 "당대표의 권한이 분산될 경우, 당력 집중이 어려워 정부와 여당에 대한 견제 기능도 약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진우 의원은 "운영위원회에 참여하게 될 지역대표 자리를 놓고 지역의원들끼리 경쟁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며 "단합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에 이같은 방안은 좋지 않다"고 비판했다.
박창달 의원은 다른 의미에서 반대하고 있다.
그는 "정치제도가 아니라 제도의 운영에 초점을 맞추는게 문제의 본질"이라며 "지금까지 거론된 의견을 제외한 제3의 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운영위원 제도를 찬성하고 있는 일부 지역의원들도 지역대표 배분문제에 있어서는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수정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역대표 운영위원이 인구비율로 배분돼 영남권(부산·경남 각 2명, 대구·경북 각 2명)이 수도권(서울·경기 각 8명)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비율로 구성될 것에 대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이병석 의원은 "대통령 선거를 치르는 것도 아닌데 단순히 인구비례로 지도부를 구성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지구당과 국회의원 수 및 당에 대한 지지도 등을 감안, 재조정 할 것을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