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비리를 수사중인 검찰이 수사에 박차를 가하면서도 정작 피고발인인 최태원 (주)SK 회장에 대한 신병처리 문제는 고심중이다.
검찰은 "최 회장에 대한 배임 혐의 적용이 불가피하다"며 사법처리에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지만 정작 신병처리 수위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해선 말을 극도로 아끼고 있다.
검찰은 최 회장에 적용 가능한 부당 내부거래 '혐의'의 경중과 재계서열 3위인 재벌 회장의 신병처리가 미칠 파장 등을 놓고 신병처리 수위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본산'인 전경련 회장사 SK그룹의 실질적 오너인 최 회장을 구속할 경우 예상할 수 있는 정치적·경제적 파장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SK에 대한 대대적인 수사가 시작되면서 경제적 논리를 앞세워 최 회장에 대한 선처 요청도 검찰에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 관계자는 이와 관련, "최 회장 신병처리 문제는 수사결과에 따라 달라질 문제"라며 "기업인인 만큼 여러가지를 보지 않을 수 없어 회의를 자주 갖고 있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검찰로선 SK와 비슷한 부당 내부거래 등 사안으로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다른 재벌그룹에 대한 수사가 이뤄질 경우 형평성 문제도 감안해야 할 입장이다.
게다가 'SK수사' 배경 등을 둘러싸고 수사 외적인 요인과 의도가 작용하지 않았느냐는 '뒷말'들이 나오면서 검찰을 더욱 곤혹스럽게 만들고 있다.
검찰은 이와 관련, "모 방송사 재벌비리에 대한 보도를 수사단초로 삼았고 참여연대 고발을 병합했을 뿐이며 절대 정치적 의도나 외부의 입김은 없다"고 강변했다.
수사팀은 일단 비상장 워커힐 주식과 상장주인 SK(주) 주식이 맞교환된 과정에서 비상식적인 주식가치 평가법에 근거해 최 회장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거래가 이뤄졌음을 규명, 최 회장에 대해 배임 혐의를 적용하는 데 수사초점을 맞추고 있다.
검찰 수사관계자도 "수사핵심은 당연히 최태원 회장"이라며 "형사9부의 과거 수사결과를 보면 알듯이 항상 맨 윗사람만 사법처리했다"고 강조했다.
검찰이 19일 SK계열사에 대해 추가 압수수색를 단행한 것도 최 회장 신병처리에 뒷말이 나오지 않도록 확실한 물증을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검찰은 그룹 내부의 조직적인 지원을 받아 700억~800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기고 덤으로 SK그룹 지배권까지 확보한 최 회장의 개인차원 비리를 집중 추적, 신병처리기준으로 삼겠다는 방침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