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대구 방식 또 미루나"...건교위, 업무보고 받아

입력 2003-02-14 13:58:06

14일 열린 철도청과 고속철도공단에 대한 국회 건설교통위 업무보고에서는 경부고속철 중간 역사 설치 문제와 대구도심 통과 방식, 대구선 이설사업 등 지역 현안이 주요 쟁점으로 다뤄졌다.

특히 지역 의원들은 "대구도심 통과 방식을 두고 건교부와 공단측이 정권의 눈치를 보고 있다"고 다그쳤다.

한나라당 박승국 의원은 "경북지역 시장·군수 등 기초자치단체장들이 최근 고속철도 김천역사 설립을 위한 건의서를 노무현 당선자에게 제출했다"며 "김천역사 설립은 김천은 물론 상주, 영주, 안동을 비롯한 경북북부와 경남서부지역, 충북 영동군 등 주민 130만명을 포함, 200여만명이 수혜를 입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영국 건교위원장은 "장기 플랜으로 추진중인 남북철도 건설계획이 확정되면 여주, 충주, 문경, 김천, 진주를 잇게 된다"며 "그렇게 되면 김천이 교통의 중심지로 제2의 대전이 될 수 있는 만큼 통일 이후를 대비, 김천역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속철 대구도심 통과방식과 관련, 박 의원은 "10년간이나 끌어온 통과방식 문제를 다음 정권으로 떠넘기는 것은 과거 정권에서 그랬듯 내년 총선을 겨냥, 선심용 공약으로 내세워 대구지역 표심을 얻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추궁했다.

그는 또 "사전 배포된 보고자료를 보면 대구구간 지하화 문제는 전혀 언급이 없다"면서 "이는 대구구간의 지하.지상 여부가 대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나 대구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큰지를 간과하는 처사"라고 따졌다.

이해봉 의원은 대구선 이설사업 지원에 대해 "지난해까지 1천688억원이 투입됐으나 공정은 70%선에 머물렀고 올해 투입예산은 국비 100억원과 시비 120억원 등 220억원에 불과, 공사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동대구역사 건설과 관련, 이 의원은 "지난해 12월에서 올 1월까지 동대구역사의 공정률이 0.5%에 불과하다"며 "월별 공정 진행에 차이가 큰 것은 공정률을 만회하려고 무리하게 작업공간과 시간을 확보하려는 것이 원인이 아니냐"고 주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