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불-독 美 이라크 공격 제동

입력 2003-02-11 09:02:15

프랑스, 러시아, 독일이 이라크사찰강화를 촉구하는 공동선언을 발표했다고 10일 주요 외신이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자크 시라크 프랑스대통령이 1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끝낸 뒤 기자회견에서 이라크 사찰 강화를 촉구하는 3국의 공동선언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9일 베를린에서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총리를 만난 데 이어 이날 프랑스를 방문했다.

이날 3국의 공동선언은 이라크를 공격하려는 미국에 대항해 이라크 무력공격을 저지하고 사찰을 연장하려는 3국의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3국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러시아, 독일, 프랑스는 평화적인 이라크 무장해제를 위해 모든 기회를 부여하려 한다"며 "무력은 최후의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 선언은 또 "유엔 결의 1441호의 틀안에서 사찰을 지속하고 사찰단의 인적.기술적 능력을 실질적으로 강화할 것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3국의 공동선언은 프랑스, 독일, 벨기에가 같은날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에서 이라크 전쟁에 대비한 미국 주도의 터키 방위계획에 거부권을 행사한 데 뒤이어 나온 것으로 미국의 이라크 전쟁 준비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전망이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무력사용은 심각할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콜린 파월 미국무장관이 지난 5일 유엔에 제시한 이라크무기에 대한 자체 증거는 사찰단이 검증해야 할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나토의 터키 방위계획을 거부함으로써 미국과 유럽의 관계를 위험에 빠뜨리려는 의도는 없다며 "단지 '도덕적 접근을 요하는 사안'에서 프랑스와 미국의 입장이 다를 뿐"이라고 강조했다.

프랑스와 독일은 이 밖에도 지난 5일 도미니크 드 빌팽 프랑스 외무장관이 유엔 안보리에 제안한 이라크 사찰강화방안을 중심으로 오는 14일 안보리에 구체적인 사찰강화 계획을 담은 '평화대안'을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안은 이라크 사찰단의 규모를 현재보다 2∼3배 증원하고 사찰기간을 몇달까지 연장하는 것을 골자로하고 있으며, 유엔평화유지군의 이라크 파견은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부터 오는 12일까지 3일 동안 프랑스에 머물며 이라크 문제외에 에너지 수출입, 기결수 교환 등 불-러 양자 협력방안을 논의하고 보르도 지방,방위산업체인 탈레스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통상 엘리제궁에서 국빈을 맞는 관례를 깨고 이날 푸틴 대통령을 환영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샤를드골 공항까지 직접 영접을 나갔다고 외신은 전했다.

외신종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