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첫 조각 인선기준 제시

입력 2003-02-08 12:52:08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7일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첫 조각의 인선기준을 제시했다.

노 당선자는 이날 정무·사회 부처는 개혁성, 경제 부처는 안정성을, 외교·안보 부처는 균형감을 강조했다.

그는 "18개 부처 장관추천에 대한 국민참여가 폭넓게 이뤄지지 못했다"며 "흙속에 감춰진 사람을 발탁해달라"고 인사추천위에 주문했다.

◆정무 부처=행정자치부, 법무부 등 사회 부처는 개혁성과 신뢰성이 부각됐다.

노 당선자는 행자부 장관에 대해 "분권화와 지방화 마인드를 기초로, 필요 없는 기능을 없애고 시대에 맞는 새 기능과 조직운영 방식을 개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자율과 분권이라는 새 정부의 분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현직 장·차관 등 행자부 내부 인사는 사실상 배제됐다는 후문이다.

노 당선자는 또 "법무 장관은 검찰문화의 쇄신과 권위주의 탈피를 선도해야 한다"며 쇄신의지를 강조했다

◆경제=노 당선자는 기획예산처 장관과 관련, △성장과 분배 △지방과 중앙의 역할정립 △세정제도 개혁 등을 실현시킬 수 있는 사람을 우선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 당선자는 "정부 기능조정과 재정·공공개혁 등은 행자부에서도 할 수 있는 만큼 예산처는 자원배분과 가치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적합한 인물을 찾아달라"고 말했다.

또 재정경제부 장관의 덕목으로 안정감을 꼽았다.

시장의 신뢰를 받고 재벌개혁을 무난히 추진할 수 있는 안정성과 관리능력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겠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는 개혁적 신진 인사보다는 능력이 검증된 안정감 있는 중량급 인사를 기용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공교롭게도 하마평에 오른 이들 모두 전직 경제부총리거나 정통 경제관료 출신들이다.

◆외교·통일·국방=북한 핵 문제와 한·미 동맹관계를 비롯, 한반도 주변국가와의 외교적 조율 및 각종 통상마찰과 WTO 등 국제 조약 문제를 균형감 있게 풀어갈 현안 해결능력이 입각 조건으로 거론되고 있다.

유일하게 국민추천을 받지 않은 국방부 장관의 경우, 내부 추천을 통해 10배수 후보가 추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