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곡수매가 인하와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의결에 이어 정부가 지난 2001년에 수입해 보관 중이던 중국산 마늘 5천900t을 오는 13일 농산물유통공사에서 공매키로 하자 농민들이 거세게 반발하는 등 농정실패에 따른 파문이 확산될 조짐이다.
특히 지난 2001년 4월 마늘파동 당시 농림부장관이 "중국에서 수입한 마늘을 전량 폐기하거나 또는 제3국으로 수출하고 국내시장에는 방출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적이 있어, 정부의 정책이 오락가락 한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이와 관련, 농민단체와 의성.영천지역 등의 마늘농들은 "정부가 방출키로 결정한 중국산 마늘 5천900t은 의성에서 연간 생산되는 마늘의 1/3에 해당된다"며 "'절대 국내시장에는 방출하지 않겠다'고 한 약속을 불과 2년만에 번복했다"고 반발하고 있다.
2001년 당시 의성군 마늘대책 위원장을 맡았던 최태림 한농 경북도연합회 부회장은 "지난해 10월 1조8천억원을 투자해 우리 마늘을 지키겠다고 발표한 '마늘산업종합대책'을 어떻게 믿는냐"고 목소리를 높이고, "중국산 마늘 방출계획을 철회하지 않으면 엄청난 저항에 부딪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의성군 사곡면 양지리의 마늘농 오유희(48)씨도 "국내 마늘값 폭락이 불보듯 뻔하다"며 "농민들을 사지로 내모는 수입마늘의 방출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영천농민회 전 회장 이중기(47)씨는 "자다가 뒤통수를 맞은 느낌"이라며 "정부가 매번 이런식으로 농민들을 우롱해 농정불신을 오히려 부추기고 있다"고 흥분했다.
영천 신녕면에서 난지마늘 4천평을 재배하는 이창환(48)씨는 중국산 마늘 방출 소식에 "그게 사실이냐"고 반문하며 "올 5월말부터 수확되는 국산 마늘이 엄청난 타격을 입게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농림부는 당초 지난 6일 중국산 수입마늘을 공매할 계획이었으나 한국농산물냉장협회와 농민들의 반발이 거세자 13일로 연기했다.
김방연 농림부 채소특작과 마늘담당자는 "2001년산 중국마늘을 2년간 창고에 보관한 탓에 품질이 떨어지는 등 더이상 보관하기 어려운 지경에 처했고, 오는 5월말까지 재고물량이 7천t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불가피하게 방출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한지마늘 주산지인 의성지역의 경우 매년 1만4천500여t의 한지마늘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 마늘생산 대비 5%, 한지마늘 생산 부문에서는 전국의 22%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