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결국 올 추곡수매 매입가를 2% 내리기로 내부 방침을 결정한 것은 정부가 쌀 관세화를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무현 당선자가 "쌀개방은 공무원 책임이 크다"며 사표쓸 각오로 일하라고 농림부에 지시 했음에도 이같이 결정한 것은 농림부의 쌀 개방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95년 우루과이 라운드 발효 이후 우리의 쌀값은 25%나 올랐다.그러나 일본은 되레 10%를 내렸고 대만은 쌀값을 동결시켰다.
결과는 일본, 대만이 쌀 관세화를 수용한 반면 우리는 국제 쌀 경쟁력만 악화된채 '관세유예' 에 목을 메고 있는 실정.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는 쌀이 농업에 차지하는 비중이 커 쌀포기는 바로 농업포기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지난 6년간 농가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연간 물가 상승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UR협상이후 농산물 수입이 늘어난데다 농산물 판매가격도 거북이 걸음을 했기 때문이다.
이 판에 내년까지 획기적인 대책없이 쌀 관세화가 된다면 농업은 '몰락'으로 치달을지 모른다.
이제 정부의 쌀대책은 뻔하다.국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가격을 내리고 내린 만큼 직불제나 휴경지 보상제를 통해 보전해 주겠다는 것.
문제는 농민들이 정부를 믿지 못하는 데 있다.
쌀개방 저지에 대통령직을 걸었던 1992년 김영삼정부나 농가부채 탕감을 약속한 김대중 정부 모두 농업정책은 실패했다.
농민들의 빚은 더 늘었고 농가로 지원된 돈은 농업외 땅매입이나 영농후계자가 아닌 엉뚱한 사람만 살찌우게 했다.
설 연휴동안 농촌을 다녀온 사람들은 농사가 아니면 죽는줄 알던 농민들이 "이젠 농사는 안된다"는 심한 자포자기에 빠져 있음을 실감했을 것이다.
이것이 문제다.
정부는 이번에야 말로 농민 소득을 보전해 줄 수 있는 명확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농민 모두가 농산물 개방시대에 맞는 '맞춤 농업'을 개발해야 한다.
경쟁에 이기기 위해서는 농업의 규모화와 고품질로 맞서고 대체작물도 개발해 농민들의 의욕을 살리는데 주력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