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진로-전대까지 비대위.최고위 병립

입력 2002-12-27 15:21:00

한나라당은 26일 연찬회를 통해 최대 쟁점으로 부각돼온 당지도부 사퇴시기와 관련, 논란을 거듭한 끝에 내년 2, 3월 중으로 예정돼 있는 전당대회 때까지 현재의 최고위원제를 유지하는 쪽으로 일단 가닥을 잡았다. 결국 전대까지 당쇄신안 등을 논의할 비대위와 일상적인 당무를 맡을 최고위가 병립하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해온 미래연대 등 소장.개혁파 원내.외위원장들은 이에 반발, 대책마련에 나선 것으로 알려져 양측간 갈등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비상대책기구에 대해서도 '설치한다'는 총론적인 차원에서만 합의가 이뤄졌을 뿐 구체적인 활동방향과 인적구성 등에 대한 논의를 둘러싸고는 계파간 혹은 지역간에 팽팽히 맞서 있는 것이다. 원내정당화 문제 역시 원외위원장과 일부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이날 오전 10시 천안연수원에서 열린 원내외 지구당위원장 연찬회는 지역별 분임토의까지 갖는 등 12시간동안 격론을 벌였다. 발언자만 해도 46명이나 됐다.

토론회가 시작되자마자 권오을, 원희룡 의원 등 미래연대 측 인사들이 잇따라 발언을 신청, 지도부의 즉각적인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백승홍, 이해봉 의원 등은 "현 지도부가 사퇴할 경우 당무를 처리할 주체가 없어진다"며 "비대위를 구성, 당을 안정시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맞섰다.

이처럼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서청원 대표는 오후 늦게 최고위원들과 구수회의를 한 뒤 총사퇴를 선언했다. 선언직후 소장파 측에선 이를 기정사실화하며 비대위의 조속한 설치를 위한 논의 쪽으로 몰아갔다.

그러자 영남권을 중심으로 다수 의원들이 "지도부 공백으로 당이 쪼개진다"며 사퇴 철회를 요구, 결국 서 대표 등은 사의를 번복하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도부의 즉각 사퇴요구와 관련, 비주류 중진 사주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역별 분임토의 과정에서 대구출신 의원들도 지도부 사퇴시기에 대해 이견을 표출했다. 다만 당무관리를 위해 전대까지 당 3역체제를 존속시키는 한편 비대위를 조속히 구성키로 하고 그 인적구성은 노.장.청 조화 및 지역별 안배 원칙아래 시.도별 2명씩 30여명으로 하며 중앙당은 대폭 축소하나 지구당은 존속시키기로 의견을 모았다. 경북 의원들도 비대위를 즉각 구성하고 원외위원장과 외부인사까지 포함, 지역별.선수별로 20명안팎을 위원으로 한다는 등의 합의를 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