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이전 두후보 설전 계속

입력 2002-12-17 00:00:00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사회, 교육, 문화분야 TV토론에서도 대선 최대쟁점의 하나인 '행정수도 충청권 이전'문제를 놓고 치열한 설전을 교환했다.행정수도 이전문제를 제기한 것은 이 후보. 이 후보는 교육투자확대문제를 말하다가 "수도를 옮기는데 6조원이 든다고 하는데 그 돈을 서민교육에 투자해야 한다"며 행정수도이전문제와 연계시켰다.

이에 노 후보는 "수도권의 인구증가와 과밀로 인해 10조원 이상의 교통혼잡비용과 8조가 넘는 환경비용이 들어가고 주택값이 오르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6조원이 비싸다는 말이냐"고 반박했다.

이 후보는 "6조원은 노 후보가 말한 것이고 저희는 (이전비용이)40조원"이라고 지적하고 "수도권 교통문제는 교통문제로 처리해야지 대전으로 옮기면 대전에 교통문제가 다시 옮아가는 것이고 이는 위암을 간으로 옮기면 위도 간도 모두 암에 걸리는 교각살우"라고 우려했다.

이에 노 후보는 "충청권에 50만명 정도 되는 작은 행정수도를 10년쯤 걸려서 이전한다고 해서 무슨 교통혼잡이 되는지 말이 안된다"며 "수도권에서50만이 빠져나간다고 해서 집값이 폭락한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재차 반박했다.

노 후보는 이어 "수도권은 매년 25만명씩 늘어나 2010년엔 2천500만명이 되는 세계에서 가장 과밀화된 도시"라고 지적하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서민들의 어려운생활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인데 어떻게 해서 집값이 폭락하고 서민경제가 파산한다는 것은 흑색선전"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도 멈추지않고 공세를 계속했다. "이해의 차이가 있다"고 전제한 이 후보는 "청와대가 옮겨가고 정부 청사를 옮기고 국회를 옮긴다고 했는데 그렇게 되면 금감원과 선관위와 감사원까지 다 옮겨간다"면서 "제2청사가 있는 과천의 상권은 어떻게 되겠는가. 숫자놀음 하지말고 실제로 일어나는 도시의위축현상을 직시해야 한다. 그렇게 숫자로 보지말아야 한다"고 몰아붙였다.

노 후보도 물러서지않았다. 노 후보는 "경남도청이 부산에 있다가 80년대에 창원으로 옮겨갔다고 해서 부산이 공동화되지는 않았다"고 소개하고 "독일의 행정수도본이 베를린으로 전체가 이전하고 있는데도 조용하고 일본도 정경유착을 끊기 위해 행정도시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고 외국의 사례를 인용하기도 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본은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굉장한 노력을 하고 있고 일본 도쿄는 14년째 논의하고 있는데 결국 옮기기 어렵다는 쪽으로 결론이 나고 있다"며 "실제로 서울을 옮긴다고 하면 서민층의 공황이 일어난다. 돈가진 사람의 문제로 보지말라"고 주장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