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기(古記)'에 '모모를 서시(西施)로 만들 수 있다'는 기록이 나오는 걸 보면 고대부터 몸매를 날씬하게 하고 얼굴을 성형하는 미용술이 발달했던 모양이다. 모모는 고대 중국 삼황(三皇)의 하나였던 황제의 아주 못생긴 넷째 비(妃)였으며, 서시는 오(吳)나라 왕 부차(夫差)의 애비로 예쁜 여자의 대명사격이었기 때문이다. 우리 고전 '열녀 춘향 수절가'에 나오는 기생 낙춘, '옹단춘전'의 옥단 묘사 부분도 미용술을 재미있게 표현한 사례다. 동서를 막론하고 예부터 아름답게 보이기 위한 여성들의 노력은 대단했던 것 같다.
▲하지만 미인의 기준은 시대나 문화권에 따라 변해 왔다. 고대의 서양에서는 풍만하고 관능적인 여성이, 중세엔 날씬한 몸매와 자그마한 가슴이 미인의 표준이었다. 중국 당나라 땐 얼굴이 통통하고 몸과 발이 작아야 대접을 받았다. 우리 선조들은 보름달처럼 둥글고 흰 얼굴에 복숭아 같은 뺨, 작고 가는 눈과 앵두처럼 탐스러운 입술, 연적 같은 젖무덤을 갖춰야 미인의 반열에 올렸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떤가. 비너스마저 저만큼 밀려나고, 말라깽이 몸을 최고로 치는 풍속이 날이 갈수록 속도가 붙고 있는 느낌이다. 여성들은 다이어트 끝에 죽음이 도사리고 있다 해도 살 빼기 질주를 멈추지 않고 있다. 세계보건기구가 비만이 전염병 수준이라고 경고할 정도로 심각한 '지구적' 과제가 된 것도 사실이지만, 정상 체중인 여성들마저 스스로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비만 망상증'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바람에 알량한 상혼이 판을 치는 세태다.
▲최근 12개의 다이어트 제품 판매업체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허위.과장 광고 시정 명령을 받았다. '한 달이면 7~8㎏ 감량', '앉아만 있어도 살이 빠진다'는 등의 표현을 객관적 근거 없이 썼기 때문이다. 적발된 업체 중엔 탤런트나 미스코리아 출신을 모델로 내세우면서 복용 효과를 본 것처럼 광고하거나 미국 특허 또는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받은 양 광고한 경우도 있다 한다. 공정위는 이들 업체들에 광고 중단과 법 위반 사실 공표를 명령했다지만 큰 문제다.
▲여성들의 필사적인 살 빼기는 남성의 시선, 자본의 논리, 미디어의 왜곡이 낳은 결과라는 분석도 있지만, 지구촌 곳곳에서는 여전히 그 죽음의 행진이 계속되고 있다. 알량한 상혼도 마찬가지로 극성이다. 아무튼 아름다움의 추구가 강박관념이 돼 몸을 속박하고 학대하는 '몸에 살고 몸에 죽는 몸 숭배' 풍토는 자제돼야 하지 않을까. 여성들의 '살 빼기 전염병'은 날로 극성인데, 정작 군살 빼기는커녕 뻥튀기가 극심해지는 우리 사회와 정치 현실을 보면 더욱 답답해지기만 한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