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에 20-30년 이후 좌표 역할을 할 장기 발전 그랜드플랜이 없어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 현재 시산하 각부서에서 생산하는 각종 발전.개발 계획들이 제구실을 못할 우려를 낳고 있다.
대구시는 현재 낙동강과 남한강을 연결하는 낙동강 프로젝트를 시장 공약 사항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획단까지 만들고 있으나 이는 대구의 장기 발전전략 수립에 따른 결과물이 아닌 조해녕시장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초기 수준이어서 대구 발전과제와 어떻게 접목시키느냐는 숙제를 안고 있다.
또 교통.환경.상하수도.공단개발.도시계획 등 각종 분야에서 중장기 발전전략을 마련하고는 있으나 이들 계획이 교과서로 삼을 수 있는 종합 마스터 플랜이 마련돼 있지 않아 유기적 추진이 될 수 있을 지 의문이다.
대구시는 14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20년 이후를 내다보는 중장기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있으나 이 또한 인구.경제상황.국제행사 등과 연계한 것이 아닌 교통단일 요소만을 위한 비전제시로 그칠 공산이 크다.
전문가들은 교통기본계획에는 대구-울산간 고속도로, 구마고속도로 옥포JC 부근에서 고령다산-다사-하빈-지천-다부IC를 통해 중앙고속도로에 연결되는 우회 고속도로 건설 등 도시팽창을 감안한 도로확장 계획 등이 빠져 있어 도시의 종합적인 발전과 맞물린 대책 수립이 아쉽다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다 경부고속철도의 대구 통과와 관련한 도시계획에 대해서도 뚜렷한 대책 마련을 못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경제개발 계획의 경우도 대구를 특화시킬 수 있는 분야의 집중육성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선 대구 미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린 후 작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97년 당시 향후 조성될 위천공단에 3공단, 검단공단, 서대구공단 입주업체들을 이주시키고 후적지는 새로운주거용지 및 상업시설, 근린생활시설 등으로 개발한다는 계획 아래 도시계획을 추진했으나 위천공단 개발이 장기간 표류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절실한 실정.
장지상 경북대교수는 "대구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주도할 발전기구를 설립해 이를 중심으로 지역산업발전의 장기비전을 설정하고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정암기자 jeong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