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차원 이공계 지원

입력 2002-07-22 00:00:00

정부는 초·중·고등학교의 과학교육을 내실화하고 이공계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연구역량을 강화하며 과학기술인의 처우와 직업안정성을 향상시켜 과학기술 종사자의 사기를 높이고 과학기술분야 인력수급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한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또 1단계 국가과학기술지도 작성을 완료하고 앞으로 10년간 과학기술이 발전할 5대 비전과 이에 따르는 49개 전략제품, 97개 핵심기술을 선정했다.

정부는 22일 김대중 대통령 주재로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외교통상부, 국방부, 과학기술부 등 13개 부처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제 10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열고 청소년의 이공계 진출 촉진방안과 1단계 국가과학기술지도 등 10개 안건을 심의 확정했다.

이공계 대학진학 기피현상 등을 통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불거진 과학기술인 사기저하 현상의 해소를 위해 정부는 먼저 초·중·고등학교의 수학, 과학 교육을 강화하고 이공계 대학과 대학원 교육을 내실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70%선인 초·중·고등학교의 과학교구 확보율을 100%로 끌어올리고 시·도 교육청 평가에서 과학부문의 평가 배점을 상향조정할 방침이다.

당초 외국 일류대학 진학 예정자를 대상으로 했던 대통령 과학장학생 제도는 '수학·과학 성적이 우수하고 교내외 과학활동이 탁월한 우수 고등학생'으로 수혜 범위가 넓어진다.

이공계 대학과 대학원생에 대한 장학금 지원 확대, 전문연구요원 전직제한규정 완화, 이공계 대학교육 인증사업 활성화 등을 통해 '수요에 맞는' 이공계 교육체계를 구축하는 작업도 병행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