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건강과 안전

입력 2002-07-16 14:02:00

휴가철이다. 집과 일상에서 벗어나 여유를 즐기다 보면 자칫 안전에 대한 불감증으로 사고를 당하거나 예상치 못한 질병에 걸릴 수 있다.

특히 병약한 사람이나 노인 그리고 판단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은 건강과 안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피부손상

태양열에 의한 화상의 경우 피부가 빨갛게 변하면서 따끔하고 가려우면 1도 화상, 여기에 수포가 형성되면 이미 2도 화상으로 진행한 것이다. 이를 예방하려면 땡볕에 오래 있지 말아야 하며 타월이나 큰 모자, 파라솔 등을 이용하는 게 좋다. 가끔씩 바닷물이나 민물로 피부를 식혀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1도 화상에는 연한 크림을 발라 더 이상의 자극이나 노출로부터 보호하면 일반적으로 흉터 없이 치유된다. 2도 화상에는 2차 감염을 피하는 게 중요하다. 일단 2차 감염이 생기면 그 안에 더러운 색깔의 액체가 보이고 심하면 치유 후에도 흉터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수포가 생기자마자 즉시 적절한 크림으로 치료하고 오염을 방지하면 별탈없이 치유할 수 있다.

피부가 찢어졌을 때 상처 부위가 크면 병원을 찾아가 봉합수술을 받아야 한다. 매우 미세한 열상으로 깊이가 1~2㎜ 정도일 때, 그리고 상처 부위가 얼굴이 아니면 소독약으로 상처를 씻은 후 깨끗한 반창고나 특수 봉합 대용 반창고로 상처를 당겨 찢어진 부분을 접합시킨 후 고정시켜 주면 된다. 상처에는 물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찔린 상처는 깊기 때문에 깊은 상처 내에 오염된 균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2차적인 감염으로 농포가 생길 수 있어 의사의 치료가 필요하다.

◆열손상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일을 하거나 운동을 할 때, 환풍이 잘 되지 않은 곳에 계속 머물러 있을 때 몸에 있는 수분과 전해질이 땀으로 소실돼 열탈진이 발생할 수 있다. 가벼운 경우에는 열 경련이 있어 다리나 배에 통증을 호소한다. 증세가 가벼운 경우 그늘에서 음료수(맹물이 아닌)나 약간의 소금물 등을 마시며 휴식하면 회복될 수 있다.

열 손상 중 생명을 앗아갈 수 있는 아주 위험한 것이 열사병. 열사병은 흔히 노인층이나 만성질환자 등이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체내에서 발생되는 열의 증발 현상 장애로 발생한다. 갑자기 열이 치솟고 의식이 점점 몽롱해지는 게 주된 증세. 열이 40℃를 오르내린다. 이 병은 뇌 및 전신기관에 심각한 타격을 주므로 사망할 수도 있어 신속히 의사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곤충에 물린 경우

벌에 쏘이거나 모기 등에 물렸을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해 가렵고, 심하면 쇼크까지 올 수 있다. 벌은 향수를 뿌린 사람이나 반짝이는 귀걸이나 목걸이를 한 사람을 추격하는 경향이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모기는 물리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 상책. 곤충에 물려 심한 가려움증과 부기로 고생하는 사람은 항히스타민제 약을 복용하거나 냉찜질을 하면 효과를 본다.

◆삐었을 때

발목이나 손목을 삐었을 때에는 해당 부위를 베개와 같은 쿠션이 있는 것으로 싸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 다음 즉시 병원으로 가서 골절유무를 점검하고 이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

글:김교영기자

도움말:이동필 교수(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장.사진)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