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 되면 대구공항은?

입력 2002-07-13 12:18:00

국제공항 위상과 걸맞지 않게 대구공항 승객 대부분이 대구-서울 국내선에 집중돼 있어 오는 2004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될 경우 승객 이탈 등으로 공항 존립기반이 무너질 위험이 커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그러나 대구공항 활성화를 이끌어 나가야할 대구시는 승객 감소에 대한 분석과 대책 마련을 위한 기본계획조차 세우지 않고 있어 '직무유기'가 아니냐는 비난을 사고 있다.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6월까지 대구공항을 이용한 110만9천607명의 승객 가운데 95.5%인 105만9천471명이 국내선 승객이었으며 국제선은 4.5%인 5만136명에 불과했다.

특히 대구-서울간 승객은 78만7천485명으로 국내선의 74.3%, 전체 대구공항 승객의 70.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건설교통부의 항공수요 변화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경부고속철도 개통후 대구-서울간 승객은 65% 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한국공항공사와 항공사 관계자들도 1시간30여분만에 대구-서울을 주파하는 경부고속철도가 운행될 경우 대구-서울간항공승객의 60~70% 정도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럴 경우 대구공항 전체 여객수송의 70% 이상을 담당하는 대구-서울간 승객이 급감, 대구공항의 존립기반이 크게 위협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대구공항이 경쟁력을 갖춘 공항으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구-서울간 승객 감소를 만회할 수 있는 대체 국내선 개발과 국제선 확충 등의 조치가 시급한 실정이다.

항공 전문가들은 중국노선 일변도의 국제선에서 탈피, 일본 노선과 홍콩, 마닐라, 싱가폴 등 동남아 관광 노선 확보, 대구-제주 노선 활성화, 대구와 호남, 강원 지역을 잇는 국내선 개발 등의 노선 다변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경달기자 saran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