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전당대회 시기와 쇄신안 연내 처리 마감시한에 쫓기면서 막판 조율을 시도하고 있다. 한광옥 대표는 우선 전대시기를 둘러싸고 '이인제' 대 '반이인제' 연대세력간의 알력이 노골화되자 28일 대선주자들을 한자리에 불러모아 타협을 시도했다. 이날 막판 조율은 당 분열을 판가름하는 중대 기로로 인식됐다.
이날 회동은 한 대표의 전격 통보로 소집됐다. 한 대표는 전날 "당이 살려면 대선주자들이 스스로 합의점을 찾는 길 밖에 없다"는 일부의 건의를 받아들여 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이날 회의에서도 이인제 고문과 반 이인제 진영은 이견만 노출했다. 이 고문은 이날 회의에서 3월 전대론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그는 "지방선거는 대선의 전초전인데 어떻게 장수도 없이 선거를 치르나"면서 "연내에 결론을 내야지 해를 넘겨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화갑·김중권·정동영 고문 등 반 이인제 진영은 한 치도 양보하지 않았다. 명분상으로는 국민경선제를 도입할 경우 3월에 전당대회를 한다는 것은 시간상 불가능하다는 주장이었다. 김근태 고문은 "지방선거 전에 후보를 선출하면 정권재창출은 멀어진다"면서 "지방선거는 대선주자들이 힘을 합쳐 치러야 한다"며 3월 전대론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과정에서 박상천·안동선 고문이 "실무자에게 알아보니 4월20일까지는 연기가 가능하다고 했다"면서 4월 전대론으로 중재를 시도했다.
그러나 반 이인제 진영이 이에 대한 수용을 거부하면서 표결처리 문제가 대두됐다. 신낙균 고문이 "합의가 안되면 표결처리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밝히자 상당수 참석자들이 반발했다. 김중권 고문은 "표결을 할 경우 많은 문제가 있다"면서 "결론은 빠를수록 좋지만 충분히 논의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반대했다. 김근태 고문도 "연내처리라는 시한에 쫓길 필요가 없다"며 표결처리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이날 고문단 회의에서도 반 이인제 진영 인사들은 똘똘 뭉쳤다. 특히 지방선거 후 전대개최에 저마다의 이해관계가 일치되면서 이같은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인제 후보 반대입장에 일치된 의견을 갖지만 한화갑 고문은 전당대회를 3월에 개최할 경우 당장 대권이냐 당권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게 돼 절박할 수밖에 없다. 또 김중권·정동영 고문도 지방선거 후 전당대회를 개최해야만 충분한 시간을 벌 수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따라 이날 열린 당무회의도 공전이 불가피했다. 특대위 관계자는 "올해를 넘길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면서 "그렇지만 특대위가 지방선거전 전당대회를 결정했다고 반대한다면 특대위를 왜 만들었느냐"며 반 이인제 진영에 불만을 표시했다. 특대위는 두 진영의 이해관계 때문에 민주당 쇄신안 마련작업이 차질을 빚지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