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 불균형으로 대구지역 신규분양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이 높아지는 등 아파트시장에 훈풍이 일자 주택건설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아파트 공급가격을 높여 서민들의 내집장만이 더욱 어렵게 됐다.
지난해 5월 우방의 '메트로팔레스(수성구 만촌동)' 분양 이후 공급이 중단됐던 대구지역에 주택건설업체들이 올 들면서 아파트 공급을 재개하면서 종전에 비해 턱없이 높은 분양가를 적용하고 있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대구에서 요즘 분양하는 아파트의 경우 30평형대를 기준으로 할 때 평당 분양가는 400만원 내외. 아파트 분양가가 자율화됐다고 하지만 너무 비싼 감이 없지 않다는 게 수요자들과 부동산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무주택 서민들은 "가계수입은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줄어들었는데 아파트 분양가는 큰 폭으로 올라 내집마련에 허리가 휠 지경"이라고 하소연 하고 있다.
대부분 주택업체는 아파트 분양가를 책정한 뒤 분양가 산출근거를 제시, 수요자들을 설득하기 보다는 '호텔같은 아파트' '고품격 마감자재' 등으로 마케팅을 전개, 비싼 분양가를 얼버무리고 있다.
올들어 대구서 공급된 민간부문 아파트 30평형대는 평당 분양가가 300만원을 훌쩍 뛰어넘어 400만원대로 진입했다. 지난 5월 분양한 수성구 모 아파트 33평형은 1억3천600만원(평당 412만원)에, 또 다른 아파트 48평형은 2억1천650만원(451만원)에 분양됐다.
뒤이어 한 업체가 달서구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34평형 1억3천550만원(398만원)이었고, 지난달 수성구에서 분양된 아파트는 34평형 1억2천800만원(376만원)이었다.대구지역 아파트의 평당 분양가(32평형 기준)의 경우 지난 95년 270만원, 97년 300만원, 99년 330만원, 2000년 360만원으로 최근의 인건비와 자재값 상승요인을 감안하더라도 공급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지적이다.
주택업체들은 원가 변동요인이 없는데도 위치에 따라 잘 팔릴 것 같으면 가격을 높이는 등 '수익금 최대화'를 목표로 '고무줄식'으로 분양가를 책정하고 있다. 실제로 대구지역의 모 주택회사는 최근 아파트 분양을 앞두고 수차례 분양가를 올리기도 했다.
아파트 분양가는 부지매입비.건축비.설계비.감리비.모델하우스 설치비.광고비.분양보증수수료.광고비 등을 바탕으로 적정선의 수입을 따져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주택건설사 관계자는 "평당 몇 만원에 수십억이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분양만 보장된다면 분양가를 올릴 수밖에 없는 형편"이라고 속사정을 털어놨다.막대한 수익을 노려 주택업체들은 분양가를 높여 놓고, 이를 합리화하기 위해 '고품격 아파트'를 주창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 하지만 '고품격 아파트'라고 선전하며 분양한 아파트의 마감재가 기존에 대구지역 주택업체들이 사용해 왔던 것들보다 품질과 가격면에서 큰 차이가 업다는 분석이다.
주택업체들은 분양가 상승에 대해 부지값과 자재.인건비 인상을 이유로 들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자재값이 몇년 전부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고, 인건비의 경우도 최근 건설경기 활황과 함께 올랐다곤 하지만 외환위기 이전 수준을 넘지않아 분양가가 높아질 이유가 없다고 주장한다.
지역의 한 건축사무소 사장은 "땅값과 인건비가 외환위기 이전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다 건축비도 평당 140만~160만원대에 불과한데도 분양가는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주택업체 관계자는 "분양가는 원가에 인근 시세와 적정 이윤 등을 따져 책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분양시장 분위기를 고려하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고무줄 분양가에 대해 전문가들은 법적인 문제는 없지만 신규아파트 분양가는 인근 아파트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산정기준을 바탕으로 책정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젠 정부가 건설경기를 부양, 건설업체를 살리려는 주택정책에서 벗어나 집없는 서민쪽으로 관심을 돌려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시점이다. 실제로 분양가 자율화 이후 주택업체들의 아파트 분양가는 원가 상승률을 훨씬 웃도는 40~50% 이상 올랐으며, 주택업체들의 매출증가분의 상당부분은 분양가를 높인 결과라는 시각도 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