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를 전후해 좌익 시비로 군과 경찰 등에 의해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정부 작성 민간인 명단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이 명단 자료는 국회 의안과 문서고에 보관 중인 것으로, 경산유족회 이태준(67) 공동회장이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국회에 청원하는 과정에서 지난달 말 민주당 전갑길 의원(광주시 광산구) 측근으로부터 복사본으로 전해 받은 것.
1960년 제4대 국회가 펴낸 '양민 피살자 신고서' 중 경산·청도군 부분 보고서인 이 자료에 따르면 경산·청도군청은 그 해 6월초쯤 일주일 정도에 걸쳐 유족 신고를 받아 군경 연행·실종자 명단을 정리, 국회 민의원에 전달한 것으로 돼 있다.자료 겉장에 '피살자 신고서'라고 쓰여져 있는 403쪽 분량의 경산 보고서엔 356명(남자 341명, 여자 15명)의 실종자 인적 사항, 실종 경위, 신고자 이름 등이 기록돼 있다. 청도 실종자는 400여명에 이르렀다.
경산 신고자 중 77명은 군인, 248명은 경찰(31명은 미상)에 의해 연행됐고, 30대가 172명, 20대 74명, 40대 70명, 10대 9명이며, 농민이 85%였고, 학생이 12명, 공무원·교사가 8명인 것으로 돼 있다. 지역별로는 안심 86명, 남천 54명, 하양 42명, 용성 34명, 고산 25명 등으로 나타났다.
김모(경산 삼북동)씨는 아들(당시 41세·상업)이 경찰에, 이모(60·여·상방동)씨는 아들 안모(당시 30세·철도공무원)씨가 CID 사무실에, 임모(진량)씨는 아들(당시 17세)이 군인에 의해 끌려간 후 행방불명됐다고 각각 신고했다.
이 회장은 "이 자료 발굴로 그동안 묻혔던 유족 확인이 더 쉬워지고 특별법 제정의 당위성이 충분히 증명됐다"며 정부의 관심을 촉구하고 "전국 자료도 있을 뿐 아니라 정부와 미국 측에 자료가 더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에 발견된 자료에 대해 지역 정치학자들은 "어떤 성격의 것인지 정확히 판단할 자료는 없지만 자유당 말기 무렵 국회 차원에서 민간인 학살 진상 규명 노력이 있다가 5·16혁명 이후 덮였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정부는 그동안 유족회의 끊임 없는 자료 요청에도 관련 자료가 없다고 답변해 왔다.
경산·이창희기자 lch888@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