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6일 국민참여 경선 방식의 예비경선제 세부안에 합의함으로써 굵직굵직한 개혁안의 윤곽이 대부분 잡혔다. 당정쇄신 파문 이후 혼란을 거듭하던 여당이 일단 쇄신안 마무리 작업을 통해 당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해가고 있는 것이다. 민주당 특대위는 그동안 제기된 총재직 폐지, 집단지도체제 도입, 당정분리, 예비경선제 도입 등에 대한 세부안을 내주중 당무회의에 정식으로 제출할 예정이다.
하지만 특대위의 쇄신안을 놓고 이해 당사자간의 불협화음이 여전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한화갑 상임고문은 당권·대권 분리 문제를 놓고 특대위와 특정후보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는 등 진통이 뒤따르고 있다.
◇예비경선을 위한 선거인단 구성=특대위는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을 5만명 수준으로 하고 그중 30%를 일반국민에게 공개하는 방식에 합의했다. 세부적으로는 현재 9천354명인 전당대회 대의원을 1만5천명선으로 늘리고 일반 당원중 비슷한 규모로 선거인단을 확정한 뒤 나머지는 비당원인 일반 국민들에게 공개한다는 것이다. 비당원 선거인단은 희망자를 공모해 추첨으로 결정하며 인구, 성, 연령비 등이 고려된다.
현 전당대회 대의원이 특정지역 출신으로 편중돼 있다는 시비거리를 없애기 위한 시도도 곁들여졌다. 일반국민 선거인단의 경우 227개 지구당에 동수로 배분한다는 계획이다. 또 대의원의 호남 편중 시비를 없애기 위해 늘어나는 6천여명의 대의원도 각지구당에 동수로 배분키로 했다.
◇쇄신안 관련 마찰음=현재로서는 당권·대권 분리안을 놓고 가장 잡음이 심하다. 특히 후보로 출마하기에는 제약조건이 많은 인사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대표냐, 후보냐'를 놓고 선택을 강요받고 있기 때문이다. 한화갑 고문은 이날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복출마 금지와 관련해 "당과 정치발전을 위해서도 부당하다"고 항변했다. 그는 특히 '꼼수'라는 표현을 쓰면서 특대위에 노골적 반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김근태 고문도 방송에 출연해 한광옥 대표 등 현 지도부에 강한 반감을 표시했다. 현 지도부는 정통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1월 전당대회를 열어 지도부를 새로 선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들 주장의 이면에는 한 대표와 특대위가 이인제 후보와 연계돼있다는 판단이 깔려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이 쇄신안을 최종 확정할 때까지는 이같은 이해득실에 따른 반발이 좀체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