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에 조선 팔도를 누볐던 개신교의 선교사 게일은 '조선은 노인 천국'이라고 했다. 그는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노인으로 살고 싶다고 부러워 하기도 했었다. 노인 홈 시설이 세상에서 가장 잘 돼 있는 독일에서 '회색 표범'이라는 노인운동을 벌여 세계에 널리 알려졌던 트루데 운루도 노인을 우러러 받드는 우리의 어른존경 문화를 귀감으로 삼았다고 한다. 이 같이 우리 사회는 농경시대에 삼강오륜의 '장유유서(長幼有序)'가 삶의 지혜였고 세상 질서였다.
▲하지만 산업화 시대를 거쳐 정보화 시대를 맞으면서 우리 사회에도 엄청난 변화가 왔다. 청소년들은 어른으로부터 배울 것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기까지한다. 얼마 전 아시아·태평양 지역 17개국 청소년 1만명을 대상으로 한 유엔아동구호기금의 어른 존경 조사 결과 우리나라가 꼴찌로, '존경한다'가 고작 13%에 불과해 '동방예의지국'을 무색케 했다. 어른 천국이 지옥으로 바뀌어버린 것일까.
▲1995년 민선 지방자치제 도입 이후 지자체들이 복지시설 확충을 위해 경쟁적으로 경로당을 지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의 경로당 수는 1995년2만4천472곳에서 지난해 말 현재 4만691곳으로 크게 늘어났다. 지난 5년간 무려 60%나 증가한 셈이며, 이 기간 동안 경로당을 짓는 데 소요된 예산만도 6천억원에이른다고 한다. 대부분 20~30평 규모로 3천만~5천만원 정도의 예산이 들었지만, 1억원 이상을 쏟아부은 곳마저 없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로당들은 사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겨울철인 요즘 이곳을 찾는 노인들이 추위에 떨어야 하는 모양이다. 오죽하면 노인들 사이에'경로당은 동로당(凍老堂)'이라는 말까지 나돌기까지 하겠는가. 동절기(11~3월) 난방비 지원액이 1997년 이후 월 5만원씩, 연간 25만원(국고·지방비 각 50%)으로 동결됐기 때문에 난방이 오전 8시부터 오후 1시까지만 되거나 아예 문을 닫아버린 경우마저 없지 않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노령화 사회에서 고령화 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금도 65세 이상의 노인이 전체 인구의 7.3%나 된다. 유엔아동구호기금의 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어른을 존경하는 평균치가 72%요, 이웃 중국도 70%나 되는데 우리는 대가족제가 무너지면서 가족 공동체간의 상하구조를 떠받치고 있던 어른 존경심마저 붕괴돼 안타깝기 그지 없다. 쑥밭이 된 어른의 권위와 존경심 되살리기는 한겨울에도 따스한 경로당 만들기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