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는 서로 어우러져기대고 산다.
햇살 따가와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 백성들을 보아라.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마음들을 보아라. 벼가 춤출 때,
벼는 소리 없이 떠나간다.
벼는 가을 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
바람 한 점에도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이 넓디넓은 사랑,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이 피묻은 그리움,
이 넉넉한 힘....
-이성부 '벼'
이 시에서 벼를 백성으로 바꿔 읽어보자. 그러면 이 시가 쉽게 이해된다. 햇살 따가울수록 서로 기대고,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하게 살 줄 아는 지혜, 공동체주의가 소위 시의 주제인 셈이다. 지난 13일 서울 도심시위를 비롯해 전국에서 농민들의 쌀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 누가 뭐래도 벼 농사는 근본이다. 산업화, WTO라고 해서 포기할 수 없는 우리민족의 삶의 정서가 아로새겨진 것이 바로 벼농사이다. 벼농사를 지키는 정책이 필요하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