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비상과도체제 불가피

입력 2001-11-05 00:00:00

민주당 최고위원들의 일괄사퇴 표명으로 최고위원회의가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됨에 따라 여권내 비상 과도체제 수립방안이 조심스럽게 거론되고 있다. 오는 7일 청와대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현 체제에 대해 재신임할 가능성도 있으나 대폭의 당정쇄신을 요구하는 소장·개혁연대의 반발이 불보듯 뻔해 어떤 식으로든 지도체제 정비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 김 대통령이 다음 전당대회까지 한광옥 대표체제를 유지시킨다 해도 공개사퇴 의사를 밝힌 이인제·정동영·박상천 최고위원 등이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할 것이 확실해 여권내분이 수습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과도체제 수립방안으로 거론되는 방안으로는 당헌에 따라 전당대회 권한을 위임받은 당무회의가 최고위원을 선임하는 방안을 비롯 3, 4가지가 거론된다. △당무회의가 선임권한을 총재인 김 대통령에게 위임하는 방안, △임명직 최고위원 5명을 다시 지명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또 김 대통령이 대표를 다시 지명, 비상기구 체제로 내년 전당대회까지 당을 운영하는 방안까지 나오고 있다.

민주당내 핵심 당직자는 "최고위원들이 제출한 사표가 수리 또는 반려될 경우를 상정해 모든 대비책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반려될 경우 최고위원들을 당무에 복귀하도록 종용하고 수리될 경우 당헌당규에 따라 임시지도부를 구성하게 될 것"이라고 말해 비상 과도체제 운영을 기정사실화했다.

이와 관련, 이 위원측은 "최고위원들이 사퇴한 만큼 과도적 지도체제를 구성해 새로운 지도체제와 새 질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노무현 최고위원도 4일 광주북을 지구당원 수련회에서 "당권이나 대선후보 등과 이해관계가 없는 중진들이 중립적 당기구에 참여해 합리적 쇄신절차를 만들어 내야 한다"며 중립인사로 구성된 과도체제 수립을 촉구했다.

특히 1월 전당대회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현실론이 대세여서 향후 정치일정을 조정할 과도체제 구성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당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김 대통령이 브루나이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뒤 중립적 인사들에 의한 과도체제 구성을 비롯, 인적쇄신 규모, 전당대회 개최 시기 등 향후 정치일정 문제가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