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규(朴尙奎) 민주당 사무총장이 "국민 모두가 국가 원수인 대통령에게 충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발언한 것은 한마디로 민주국가에선 있을수 없는 '실언(失言)'이다.
이 나라의 주권자는 국민이며 국민 모두가 국가에 충성할 의무는 있어도 대통령에게 충성할 필요는 없다는 것은 초등학생도 알만한 상식이다. 그럼에도 여당인 민주당을 사실상 이끌어가는 핵심 지도자라 할 수 있는 박 사무총장이 전제군주제하의 왕에게나 요구함직한 충성 발언을 하다니 참으로 어이없다.
물론 박 사무총장은 이날 발언에 대해 "안동수 법무장관의 취임사 문건 파문과 관련 안 장관의 입장을 옹호하느라 대통령에 대한 존경심을 강조하다보니 그렇게 됐다"고 해명하고는 있다. 그러나 아무리 그런 입장이었다 해도 그렇지 '대통령에게 충성…' 운운한 대목은 너무했다.
안 법무장관의 과잉 충성 발언의 파문에 대해 해명한다면서 다시 '대통령에 대한 충성'을 강조한 박 총장의 발언은 그가 주장하듯 어찌하다보니 그렇게 된 것이 아니라 평소에 믿는바를 밝힌 '확신 발언'이라 할만하다. 그런만큼 우리는 이번 박 총장의 발언을 두고 그가 과연 개혁 정치 지도자로서의 자질이 있는 사람인지 재삼 의심케 된다.
사실 DJ의 통치 스타일은 지금까지 동교동계를 중심으로 한 '가신(家臣) 정치'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보아 틀림없다. 가신정치는 결국 모든 것이 DJ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DJ가 충성의 정점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지고보면 이번 박 총장의 충성 발언이나 안 법무장관의 '태산같은 성은'이니 하는 발언도 '가신정치'의 연장 선상에서 이해된다.
DJ 집권이래 지난 3년간 1, 2개월도 안돼 불명예 퇴진한 장관만해도 송자, 주양자, 김태정, 손숙 전 장관 등 4명이나 된다는 것도 결국은 국가를 이끌 자질을 따지기전에 DJ에 대한 충성도부터 따진 결과가 아닌가 한다. 결국 안 법무와 박 총장의 충성 발언도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충성만 따지는 DJ식 통치스타일의 당연한 귀결이라 믿어진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