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보고서는 지역별로 기후변화 양상을 세분화 해 전망했다. △아시아=열대.온대 지방에서는 고온.가뭄.홍수.토양침식 등으로 인해 식량 생산이 대폭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해수면 상승과 잦은 열대성 태풍으로 해안 저지대의 수천만 인구가 다른 지역으로 대피, 이주해야 할 것이다.
△호주.뉴질랜드=일부에서는 기후가 점점 건조해지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잦은 집중호우와 사이클론으로 홍수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유럽=남부에서는 농업 생산성이 줄고 가뭄이 잦아질 것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홍수 위험이 증가할 전망. 21세기 말 쯤에는 알프스 빙하지역의 절반 가량이 사라질 수 있다. 반면 북부에서는 농업 생산성이 높아질 수도 있다.
△아프리카=곡물 생산이 감소하고, 공급 가능한 수자원이 감소한다. 특히 남북서부에서는 연평균 강우량이 감소, 사막화 현상이 심화된다. 나이지리아.세네갈.잠비아.이집트, 동남아프리카 해안 일대 등은 해수면 상승과 해안 침식의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이 대륙 최고봉인 킬리만자로산(높이 5천895m) 정상의 만년설이 녹아 15년 안에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됐다. 그 빙원 면적은 1912년에만 해도 4.6평방마일에 달했으나 82%가 녹고 작년엔 남은 것이 1평방마일도 안됐다. 이런 속도로 용해가 계속되면 2015년 쯤엔 만년설이 완전히 사라질 전망이다.
△북미대륙=식량 생산이 다소 늘 수도 있으나 캐나다 곡창지대와 미국 대평원지대에서는 감소할 것이다. 플로리다 및 대서양 해안지대에서는 해수면 상승으로 홍수 및 폭풍 피해에 노출될 것이다. 말라리아.뎅기열 같은 전염병이 확산되고, 더위로 인한 사망자도 늘어난다. △라틴아메리카=홍수와 가뭄이 잦아지고, 대부분 지역에서 주요 곡물의 생산이 격감할 것이다. 말라리아.콜레라 같은 전염병 위험도 높아진다.
△극지방=다른 어느 지방보다도 기후변화가 심할 것이다. 빙하층, 대양의 순환, 해수면에 돌이킬 수 없는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북극해에서는 빙하의 두께와 크기가 이미 줄었다. 금세기 중 북극 전체의 얼음이 녹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공기 중 이산화탄소 양이 산업혁명 이전의 2배에 달하게 되면 여름철 북극 바다의 얼음은 60%가 줄어들 것이다. 이산화탄소는 지난 250년간 3분의 1 늘었고, 2050년까지는 1750년 때의 2배에 이를 것으로 기상학자들은 보고 있다. 지난 130년간 북극 얼음은 3분의 1이 줄었다.
이 때문에 영구 동토층 해빙으로 건물.도로.송유관.송전선 등이 붕괴될 수 있고, 시베리아에서는 이미 많은 고층 건물들이 약해지거나 훼손됐다. 2030년까지는 야쿠츠쿠나 티키시 같은 도시의 건물들이 대부분 사라질 것이다.
△섬나라 소국들=앞으로 100년간 매년 0.5㎝의 해수면 상승이 예상돼, 해안 침식, 영토 손실, 인구 이주 등이 불가피하다. 산호초가 훼손되며, 어업.관광업 피해도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