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동양의 고전인 '삼국지'의 일부분으로서, '읍참마속(泣斬馬謖)'이라는 고사와 관련된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제갈량이 마속을 참수한 일에 대하여 '원칙과 융통성'을 논의의 초점으로 삼아 자신의 생각을 구체적 상황과 관련시켜 논술하라.
삼국 시대 초엽인 촉(蜀)나라 건흥(建興) 5년(227) 3월, 제갈량(諸葛亮)은 대군을 이끌고 성도(成都)를 출발했다. 곧 한중(漢中 : 섬서성 내)을 석권하고 기산(祺山 : 감숙성 내)으로 진출하여 위(魏)나라 군사를 무찔렀다.
그러자 조조(曹操)가 급파한 위나라의 명장 사마의(司馬懿)는 20만의 대군으로 기산의 산야에 부채꼴의 진을 치고 제갈량의 침공군과 대치했다. 이 '진'을 깰 제갈량의 계책은 이미 서 있었다. 그러나 상대가 지략이 뛰어난 장군이니만큼 군량 수송로의 가정(街亭 : 한중 동쪽)을 수비하는 것이 문제였다. 만약 가정을 잃으면 중원(中原) 진출의 웅대한 계획은 물거품이 되고 만다. 그런데 그 중책을 맡길 만한 장수가 없어 제갈량은 고민했다.
그 때 마속(馬謖)이 중책을 자원하고 나섰다. 그는 제갈량과 문경지교(刎頸之交)를 맺은 명참모 마량(馬良)의 동생으로 평소 제갈량이 아끼는 재기가 발랄한 장수였다. 그러나 노회(老獪)한 사마의와 대결하기에는 아직 어렸다. 제갈량이 주저하자 마속은 거듭 간청했다.
"다년간 병략(兵略)을 익혔는데 어찌 가정 하나 지켜내지 못하겠습니까? 만약 패하면, 저는 물론 일가 권속(一家眷屬)까지 참형을 당해도 결코 원망하지 않겠습니다…""좋다. 그러나 군율(軍律)에는 두말이 없다는 것을 명심하라"
서둘러 가정에 도착한 마속은 지형부터 살펴보았다. 삼면에 절벽을 이룬 산이 있었다. 제갈량의 명령은 그 산기슭의 도로를 사수하라는 것이었으나 마속은 적을 유인해서 역공할 생각으로 산 위에 진을 쳤다. 그러나 위나라 군사는 산기슭을 포위한 채 위로 올라오지 않았다. 식수가 끊겼다. 마속은 전 병력으로 포위망을 돌파하려 했으나 용장인 장합에게 패하고 말았다.
전군을 후퇴시킨 제갈량은 마속에게 중책을 맡겼던 것을 후회했다. 군율을 어긴 그를 참형에 처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듬해 5월, 마속이 처형되는 날이 왔다. 때마침 성도에서 연락관으로 와 있던 장완은 '마속같이 유능한 장수를 잃는 것은 나라의 손실'이라고 설득했으나 제갈량은 듣지 않았다.
"마속은 정말 아까운 장수요. 하지만 사사로운 정에 이끌려 군율을 저버리는 것은 마속이 지은 죄보다 더 큰 죄가 되오. 아끼는 사람일수록 가차없이 처단하는 대의(大義)를 바로잡지 않으면 나라의 기강이 무너지는 법이오"
마속이 형장으로 끌려가자 제갈량은 소맷자락으로 얼굴을 가리고 마룻바닥에 엎드려 울었다고 한다.
◎응모요령
글의 길이는 빈칸을 포함하여 1,500자 안팎(±150)이 되게 할 것.
제목을 쓰지 말고 본문부터 시작할 것.
원고마감 일자 : 2월 17일(토요일)
우편으로 응모할 경우 봉투 겉면에'제78차 학생 논술 응모'라고 반드시 쓸 것.
주 소 : 대구광역시 중구 계산동 2가 71 매일신문 논술 담당자 앞 (우) 700 - 715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 166 일신학원 논술 담당자 앞 (우) 700 - 412
학교와 학년, 집 전화번호를 밝힐 것.
당선작은 본지에 강평과 함께 게재.(상장과 부상은 학교로 우송함)
※ 인터넷으로도 원고를 접수합니다.
일신학원 - ilsin@ilsin.co.kr
매일신문 - kj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