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심 곳곳에서 이뤄지고 있는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의 뒷처리가 대부분 부실하기 짝이 없어 도로가 꺼지거나 균열이 발생, 통행 불편과 대형사고 위험을 안겨주고 있다.
특히 지속적 관리감독을 통해 부실공사로 인한 피해 예방에 나서야 할 각 구청은 시공업체에 하자보수 요구를 형식적으로만 해 시민 안전에 무관심하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대구경실련이 최근 시내 주요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의 도시가스관 매설표시 장소 57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도로 침하, 균열, 요철, 포장부실 등 부실공사가 이뤄진 곳은 조사대상의 절반 가까운 27곳이나 됐다.
대구 북구 북부경찰서 앞 도로는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 이후 균열이 수백미터에 걸쳐 여러 줄로 일어나 보기에도 아찔할 정도다.
북구 검단파출소 앞 도로에도 폭 40~50cm, 길이 60m 정도의 침하와 균열이 발생했으며 동구 동촌유원지 입구에도 폭 60cm 정도의 침하가 관찰됐다.
각 구청별 부실공사로 지적된 구간은 중구가 8개 조사대상 중 5곳이었으며 북구 12곳 중 6곳, 동구 18곳 중 6곳, 달서구는 3곳 중 2곳 등이었다.
또 현재 시공중인 공사현장에서도 모래.물다짐 등이 시방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데다 되메우기 작업도 양질의 토사 대신 잡토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원인자 복구'를 조건으로 도로 굴착허가를 내준 각 구청이 시공업체인 대구도시가스(주)에 최근 2년간 하자보수를 요구한 건은 거의 없었다.
게다가 중.서.남.북.달서구는 공문으로 하자보수를 요구한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었으며 불편을 겪은 주민이 신고할 경우 전화로만 긴급복구를 의뢰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원인자 복구'를 조건으로 각 구청이 도시가스 관로 매설공사를 위해 내준 도로굴착 허가건은 모두 592건 58.6km에 이다.
대구경실련 관계자는 "부실공사 구간에 대해서는 전면 조사를 벌여 재시공 또는 재포장을 해야 할 것"이라며 "각 구청 등 지도감독기관도 시민안전을 위해서 실질적인 감독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李尙憲기자 dava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