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 혹은 앞으로 생활할 미지의 공간에 대해 좀 더 멋지게 꾸며놓는상상을 즐기는 것은 여느 즐거움에 못지 않을 것이다.
친구들중엔 꿈많은 20대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가상의 공간을 지었다 뒤틀었다 또는 개조하며 지금까지도 그 게임을 즐기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운좋은 몇몇 친구들은 그 상상의 집이현실화돼 결과에 만족하며 살기도 하지만 20여년동안 그 기분좋은 게임을 계속하고 있는 친구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동안 즐겨왔던 기분좋은 상상의 공간들이 막상 현실로 다가왔을때 그 멋진아이디어들이 몇가지 실질적인 문제들로 인해 하나하나씩 포기해야할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결국 쉽게 구할 수 있는, 혹은 유행하는 재료 및 구조들로 마감해버림으로써 스스로 몰개성화에 빠져버리게 된다. 옆집이나 건축인테리어잡지에 나오는 주택들의 피상적이고 감각적인 것만 모방하게 되고 만다.
결국 그 집들은 그 옆집을 낳고 그 옆집은 또다른 옆집을 낳고··. 혹시라도 자신만의 개성이나 신나는 상상력을 불어넣으려면 수십번 용기를 가져야한다. 그래서 그것이 부담스러워 포기하게 되고 그 역시 옆집을 닮아 온동네는 본의아니게 계획화된, 잘못된 통일성(?)을가진다.
머리속 멋진 가상의 공간을 포기해버리기엔 너무나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틈이 나는대로상상의 공간을 일기쓰듯 기록해두면 어떨까. 그것이 현실화될 기회가 왔을때 그 아이디어들을 놓치지 않고 바라던 공간들을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사과장수의 집과 복숭아장수의 집의 공간감각이, 또는 물리학 전공자와 심리학 전공자의 공간형태가 좀 달라야 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그래서 그 동네 집들의 다양함에서 비롯되는 보는 즐거움과 생활하는 재미가 있어야하는 것이 아닐는지?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