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마비 대동은행 주내 정상화 불투명

입력 1998-07-02 00:00:00

대동은행 직원들의 업무복귀가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않아 주내 업무 재개가 불투명한 것은물론 업무마비 장기화가 우려되고있다.

대동은행은 전산요원 11명과 일반직원 68명 등 모두 79명이 업무복귀 의사를 밝혀왔지만 2일 오전 현재 실제 업무에 복귀한 직원은 서울지점 근무 여직원 2명에 불과한 실정이다.더욱이 복귀의사를 밝힌 직원들도 대부분 본인이 아닌 가족들이 통보해온 것이어서 노조의공식입장이 변하지 않는한 실제 복귀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이때문에 전산망 가동 매뉴얼 및 흐름도를 확보, 2일부터 전산망을 본격 가동하려했던 국민은행측의 인수 계획도 큰 차질을 빚고있다.

국민은행 인수단은 주전산기의 비밀번호 파악에는 성공했으나 정상운영에 필요한 작업명령파일(batch file)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업무재개의 핵심인 금고 개방과 어음·유가증권을 찾는데도 실패하고있다.

인수단은 그러나 작업명령파일 없이도 가능한 예금잔액조회 업무에 대한 복구작업을 완료해빠르면 금주중 대동은행 예금을 국민은행 예금으로 전환해 지급할수 있을것으로 내다보고있다.

한편 대구상의는 1일 오후 상의에서 이순목 부회장(우방 회장)등 지역 상공인들과 이의근경북지사, 장영철 국회의원, 변종화 대동은행 인수팀장(국민은행 감사)이 참석한 가운데 대동은행 폐쇄에 따른 긴급 대책회의를 갖고 어음 지급기일이 연장됐는데도 부도날 경우 정부나 인수은행에서 책임지도록 하는등 지역 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정·관계에 건의했다.

긴급대책회의는 또 대동은행 노조에는 업무 인수·인계 협조를, 또 국민은행에는 고용 승계를 최대한 해줄것을 요청하는 호소문을 내고 2일 김규재 상의 상근부회장등 지역 경제인들이 명동성당을 방문해 농성중인 대동은행 노조원들을 설득키로 했다.

긴급대책회의는 정·관계에 낸 건의서에서 퇴출은행에 이미 보관중인 받을어음 추심신탁에대해서는 지급기일 연장을 위한 법적 조치가 강구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지급기일이 연장된 기간중에 어음·수표가 부도나거나 퇴출은행이 수탁어음을 파기, 수탁예금자가 피해를 봤을때는 정부나 인수은행이 책임지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줄것을요청했다.

긴급대책회의는 또 인수은행이 보관어음 피해자로부터 피해내역을 신고받고 어음 실물이 은행에 지급제시된것과 동일한 것은 서류행정으로 교환처리, 기업의 자금운용이 가능토록 해줄것을 건의했다. 〈許容燮·金海鎔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