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이후-퇴폐업소 자취감춘 양지로

입력 1997-11-11 14:31:00

10대 가출 여고생들을 고용, 퇴폐 윤락행위를 시키는 곳으로 악명을 떨쳤던 남구 대명7동 속칭양지로 술집골목. 지난해 7월부터 남구청이 대대적인 단속에 나섰다가 연말에는 구청장 협박사건까지 발생했다.

본격 단속 1년이 지난 지금. 양지로는 상권 자체가 형성되지 않을 만큼 스산한 분위기다. 한때 1백50여개에 달하던 불법 퇴폐업소는 구청의 끈질긴 단속에 대다수 꼬리를 내렸다. 일부 업소는새 사업을 하려는 사람들로 주인을 바꿨다. 애견센터, 제과점, 싱크대 조립공장 등이 대표적. 술집영업을 하던 가게 상당수는 굳게 문을 닫은 채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업종 전환이 그만큼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는 셈.

행정기관의 단속에 불법업소가 자리를 뜰 수밖에 없었지만 10대 가출 여종업원은 대구 곳곳에서발견된다. 동구 아양교 부근 13번 도로 주변의 업소 접대부 대다수가 양지로에서 넘어왔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양지로에서 흘러나온 10대들은 서구 당산로 부근 업소에서도 불법영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구청은 불법 퇴폐업소가 번져 들자 6일부터 53명의 특별반을 구성, 본격단속에 나섰다.

남구청은 한때 양지로를 소극장·고미술상 등이 있는 문화거리로 만들겠다고 발표했었다. 하지만입지 여건이 맞지 않아 계획 자체가 백지화될 기로에 놓여 있다. 구청장이 발로 뛰며 주민들을만나고 인근 대학의 학생들을 만났지만 인위적으로 거리를 조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던 것. 교통소통 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문화거리 조성을 위해서는 활용공간이 있어야 하지만 양지로는왕복4차선 도로에 불과하다. 삼각지네거리를 테마공원으로 바꿨으나 이 역시 횡단보도 설치 문제로 주춤거리고 있다.

이태훈 사회산업국장은 "지속적인 불법업소 단속으로 퇴폐영업이 거의 사라진 상태"라며 "업종전환 문제는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오랜 시간을 두고 방안을 찾아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全桂完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