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꿈틀, 준농림지 시들

입력 1997-09-22 15:21:00

정부가 농사를 짓지 않는 휴경농지에 대해 무더기 강제매각 처분명령을 내린데 이어 그린벨트 완화가 입법예고 되자 부동산 투기꾼들이 그린벨트지역으로 몰리는 반면 그동안 투기용으로 각광을받았던 준농림지는 거꾸로 땅값이 떨어지고 있다.

농림부는 지난달 24일 경북도 22명 1만2천평을 비롯, 전국 투기성 농지의 소유자 1천4백여명에게해당농지 1백33만평을 1년이내에 매각하라는 강제처분 명령을 시군에 통보 했었다.이때문에 일단 땅을 사놓기만하면 떼돈을 벌수 있다며 마구 사들인 준농림지 땅의 매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가격이 20~30%% 급락한 가운데 준농림지 보유 외지인들이 땅처분에 부심하고 있다.

실제로 성주군의 준농림지 땅값은 평당 50만원서 30만~35만원, 밭.임야는 30만원서 20만원으로 떨어졌다.

김모씨(41.대구시 수성구 황금동)는 "지난해 3월 성주군내에 있는 농지 7백여평을 매입, 묵혀두었다가 이번에 강제매각 처분명령을 받았다"며 "팔려고 내놓았으나 살 사람이 나서지 않고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또 강모씨(48.대구시 서구 내당동)는"지난해 4월 고령군 성산면의 준농림지 2천여평을 사들인 후현지주민 대리경작 방법으로 간신히 강제처분을 면했으나 올해는 대리경작 보단 차라리 매각을고려하고 있으나 땅값이 떨어져 고민"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관계자들은 "정부의 휴경지 강제처분 조치는 지난해 거래물량중 5월이전 취득농지만 실사대상으로해 실제 적발건수가 적지만 내년부터는 새농지법 개정후 취득분 모두가 해당돼 강제처분이 속출할 것"이라며 "최근들어 준농림지의 매물은 쏟아지는 반면 그린벨트지역 매물에 대한 문의는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말했다.

한편 그린벨트 완화안이 입법예고되면서 대구시내 일부 그린벨트 거주자나 투자자들이 기초단체나 부동산 중개소 등에 건물증축 및 매도 방법을 문의하거나 투자효율성이 높은 대상지역을 물색하는 등 투기조짐이 일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성구 연호.가천.이천동, 동구 숙천동, 북구 연경동, 달성군 가창.하빈면 등지의 그린벨트를 대상으로 소자본 투자자들이 '전원주택' 형식의 건물신축을 물색하는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 이 지역의 건물신축은 나대지(임야.논밭 제외)를 소유한 그린벨트 원거주자에게 한정돼, 투자자들은 결국 공사비를 직접 투입해 원거주자 명의로 건물을 신축한 뒤 이를매입하는 방식으로 전원주택을 확보하는 편법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또 북구 등 그린벨트가 광범위하게 차지하는 지역의 일부 주민들은 관할 구청에 건물 신.증축 대상지역과 범위 등을 문의하거나, 30평까지 가능한 분가용 주택의 편법 매매방법을 부동산업계에은밀히 타진해오고 있다는 것.

〈金成祐.金炳九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