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아동 교육정책도 "장애

입력 1997-08-05 14:37:00

"전문기관·시설 없어, 지역 5천여 미취학어린이 문맹상태"

재활 전문 교육기관이나 전문 유아 재활시설이 없어 5천여명에 이르는 대구지역 미취학 장애아동이 문맹으로 방치돼 있다.

특히 정부와 대구시는 교육부에서 엄격히 구분, 각종 지원을 하는 일반 유아교육시설과 달리 유아장애인을 성인장애인과 한데 묶어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공교육대상에서 소외하고 있다.정신지체, 자폐, 뇌성마비, 맹인, 농아아동을 수용할 수 있는 일부 시설도 정부나 자치단체의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해 공공 재활교육이 뒷걸음질 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대구시내 장애인 종합복지관, 본동복지관, 서구복지관, 선린복지관 등 5개 법인 복지시설에서 재활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나 정부지원 없이 일반 아동에 곁수용해 재활교육을 시키고 있다.그나마 각 시설의 수용인원도 20명을 넘지 못할 뿐 아니라 정신연령이 유아수준인 아동이나 맹인및 농아자들은 시설 이용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이에따라 대부분의 장애아동 부모들은 재활교육을 포기하고 있으며, 형편이 넉넉한 일부 장애가정만이 한달에 수십만원씩 들여 의료기관에서 치료와 교육을 받고있다.

지역 재활교육학과나 특수교육학과 출신 치료사들이 운영하는 소규모놀이시설도 법적 지원이나보호를 받지 못하고 교육수요에도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이같은 현상때문에 대구지역 10여개 법인·민간 유아장애자 교육시설에는 수용을 원하는 아동들이 수십명씩 대기하고 있으며 문의전화가 잇따르고 있다.

서구종합사회복지관 이은숙씨(27·심리치료사)는 "장애아 재활교육을 민간시설에 맡기는 것은 정부가 복지정책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며 "유아장애인을 위한 공공시설 확충과 정부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全桂完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