덮어버린 대선자금…

입력 1997-06-05 14:43:00

"의혹만 부풀린 현철비리수사"

김현철씨 비리수사는 5일 검찰의 기소로 일단락 됐으나 그를 둘러싼 세간의 의혹은 해소되지 않은 채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있다.

검찰은 특히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된 현철씨의 대선자금 잉여금 관리의혹에 대해 상당부분 진상을 파악하고도 정치적 파장등을 이유로 공개치 않아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그간 현철씨를 둘러싸고 제기된 의혹은 △한보특혜 대출의 배후설 △대형 국책사업과 관련된 각종 이권개입 △대선자금 잉여금 등 1백20억∼1백50억원에 이르는 비자금 조성및 관리 △정부요직및 방송사 인사등 국정개입 △국가기밀 정보유출등이다.

검찰은 이 가운데 2천억원 리베이트 수수설등 한보배후 의혹에 대해 "사실무근으로 판명됐다"며일찍이내사종결했다.

검찰은 지난달 19일 현철씨를 구속하면서 측근인 이성호 전 대호건설사장과 동문선배 두양그룹김덕영회장으로부터 5건의 이권 청탁과 함께 32억2천만원을 받는 등 6명으로 부터 65억5천만원을수수한 사실을 공개했으나 구속 이후 20일간의 보강수사에도 불구, 이권개입이나 비자금에 얽힌의혹 등에 관해선 이렇다할 결과를 내놓지않았다.

단지 신성그룹 신영환회장으로 부터 6천만원을 더 받은 사실을 추가로 밝혀내 수수총액이 66억1천만원으로 늘어났을 뿐이다.

검찰은 현철씨가 93년 8월 실명제 직후 이성호씨에게 52억원이 입금된 박태중씨 측근 3명 명의의통장을 넘겨 관리케 한 사실을 확인했으나 이 돈의 출처를 캐내는데 실패했다.현철씨 비자금과 관련, '입구에서 출구까지 모조리 수사해 진상을 밝히겠다'며 수사의욕을 보였던것과는 판이하게 달라 대선자금 의혹이 정치쟁점으로 불거지자 정권 보호 차원에서 수사 의지를후퇴시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검찰 주변에서는 현철씨가 △6개 업체로 부터 받은 65억5천만원 △93년 8월 실명제 직후 이성호씨에게 맡긴 52억2천만원 △김기섭씨를 통해 관리해온 70억원 △측근 이씨를 통해 돈세탁해 넘겨받은 현금 25억원 등 지금까지 드러난 뭉칫돈 가운데 일부 중복된 것을 제외하더라도 1백20억∼1백50억원 정도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한솔그룹 조동만 부사장의 경우 현철씨에게 무려 31개월 동안 15억5천만원을 제공했음에도한솔의 PCS 사업자 선정에 따른 대가성 자금인지 여부를 밝혀내는데 실패, 경제계의 파장을 우려한 소극적인 수사란 지적을 받고 있다.

검찰은 현철씨가 이성호씨로 부터 △서초유선방송국 사업자 선정 △대호건설의 공정거래법 위반건 △'만남의 광장' 민자유치 사업자건 △부친 이건씨의 선처부탁등 4건을, 김덕영회장으로 부터신한종금 소송건을 청탁받았으나 실제로 관계 부처등에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현철씨는 청탁을 받은 뒤 나중에 일이 잘되면 '내가 힘써 준 결과'라며 생색은 냈으나 실제로 관계 부처에 별 영향력을 행사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지만 현철씨가광범위하게 국정에 개입한 사실로 미뤄 볼 때 선뜻 수긍이 가지 않는 부분이다.이와함께 검찰은 현철씨의 정부요직및 방송사 인사등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 진상만 파악한채 "범죄구성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수사를 포기했으며 김 전안기부 차장이 현철씨에게 국가기밀을 제공한 의혹에 대해서도 "뚜렷한 범죄 혐의를 포착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