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에 이어 정치권을 강타한 92년 대선자금문제를 야권 특히 국민회의는 거의 마지막 승부수로보고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여권은 속수무책에서 적반하장 내지 물귀신 작전으로 전환했다. 또 국민회의의 정보입수 경위를 따지며 매수를 통한 추잡한 정치공작행위라고 규정하는 등따가운 여론을 돌려보려 하고 있다. 그러나 역부족이다. 여기에 대선당시의 민자당 사무처요원이다수 포진해 있는 데다 김종필총재가 대강의 윤곽을 알고 있을 자민련은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있다.
신한국당은 30일부터는 대선자금문제에 대해서는 부인과 일축으로 대응했고 정치공작이라는 측면으로 대야공세로 전환했다.
우선 신한국당은 대선자금의 규모를 알 수도 없고 밝힐 의사도 없다는 식으로 당입장을 정리했다. 박관용총장은 29일"대선자금은 누구도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며 김대중총재의 대선자금을 언급한 데 이어 30일 월례조회에서는 "전형적 중앙정보부식 공작정치"라고 비난했다.그리고 야당의 파상공세에 일일이 대응치는 않는다는 방침도 함께 정했다. 청와대도 공작정치 측면을 강조할 뿐 구체적 언급은 자제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대선자금공개 압력과함께 검찰의 수사촉구 등을 병행했다. 그리고 대선자금 1조원설을 다시 전개했다.
그리고 노태우전대통령으로부터 3천억원을 받고 한보의 정태수총회장에게서 6백억원을 받은 부분에 대해서 만큼은 어떤 식으로든 답을 찾으려 하고 있다. 한보사건에 이어 정국의 주도권을 계속유지하겠다는 뜻이다.
자민련은 구 민자당사무처 출신직원들과 당시 민자당 소속이었던 충청지역 국회의원과 지구당위원장 등의 증언과 자료를 일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총재가 이에 대한 조사와 자료확보를지시한 것은 95년 말 주병덕충북지사의 탈당을 전후한 시기다. 대여공격용 카드로 활용할 수도있음을 감지할 수 있는 대목이다. 〈李東寬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