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우선 야권

입력 1997-01-23 15:13:00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여권이 노동관계법등 날치기 법안들의 불법·무효화를 인정할 때까지 강경투쟁을 계속 벌여나가기로 했다.

그러나 당내부적으론 대화기류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더욱이양당의 공식적인 입장표명에서도이들 법안의 무효화를 위한 구체적인방법 등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 대화에는 응할 수 있다고 밝히는 등 대여 대화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양당은 22일 오후 국회에서 반독재투쟁공동위를 열어"신한국당이 지난해 변칙처리한 노동법과 안기부법의 합법성을 주장하는 한 여야 대화는 없다"며 날치기 법안들에 대한 무효화가 확실해질때까지 현재의 강경 투쟁 방침을 고수키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 18일 발대식을 가진 법안 무효화1천만명 서명운동과 오는 2월1일 서울에서의 대규모 장외집회도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것.국민회의는 23일 오전 김대중총재 주재로 특위위원장 회의를 갖고 이같은 강경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에 앞서 22일엔 간부회의를 갖고"날치기법률의 무효가 전제되지 않는 한 총무접촉은 유보한다" "이들 법안의 무효를 인정하는 근본적 문제에 대한 대통령 결단을 촉구한다"는 등 강경론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자민련 역시 당무회의를 통해 "대화에는 응하되 노동법등 11개 법안의 원천무효에 국한시킨다"는이전보다는 일보 후퇴했으나 여전히 원천무효입장을 고수하는 강경론으로 끝맺었다.그러나 양당은 공동위를 통해 노동법과 안기부법의 불법 무효화를 전제로 그 방법과 절차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 대화와 불법 여부를 따지기 위한 여야총무간 TV토론 등을 제의, 대화 용의도 표명했다.

실제로 양당 내부에는 대화론자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국민회의의 경우 지난 21일 영수회담에서 일정 수준 성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한 만큼, 회담 직후만 해도 대여 대화론쪽으로 기울었다.그러나 자민련이 강경론을 밝히고 나오자 야권공조 차원에서 또다시 강경론으로 U턴했다.자민련 역시 당무회의에서 정석모·박철언부총재등이 대화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박부총재는"국민들도 대화와 타협을 통한 문제 해결을 바라고 있다"며"책임있는 공당으로서 투쟁과 함께 대화에도 적극 나서, 우리의 주장을 펴야할 것"이라고 제의했다. 실제로 당무회의 초반만 해도 일보도양보없는 강경론이 대세였으나 이들의 대화 제의 목소리가 나오면서 절충된 형태의 대화에는 응하되 그 내용을 원천무효 주장으로 국한시킨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