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경에 취해 겨울을 낚는다

입력 1997-01-09 14:00:00

올 겨울은 예년에 없이 최저 영하 10도 밑을 내려가는 매서운 추위가 지속,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얼음낚시의 진수를 만끽할 수 있을 듯하다. 얼음낚시는 조과도 조과지만 가족과 함께 하루를야외에서 즐길 수 있어 그만큼 의의도 큰 편. 어른들은 얼음 구멍 앞에 모여 낚시하고 아이들은드넓은 얼음판에서 스케이트도 타면서 뛰어노는등 얼음낚시로 겨울 정취를 한껏 누려보자.▨포인트 선정

얼음낚시는 맑은 날 조황이 좋다. 낚시터에 도착하면 우선 빙질부터 살펴본다. 얼음판에 들어가기전에 얼음끌로 몇번 찍어보면서 결빙상태를 확인한다. 이 때 얼음의 두께가 최소 3cm는 돼야 한다. 5cm이상 되면 중심부는 물론 제방권은 더욱 두꺼워져 안전하게 낚시할 수 있다. 얼음구멍은한 사람이 3~4개씩 뚫어놓고 입질 빈도에 따라 옮겨가면서 낚시한다. 구멍의 크기는 직경15~20cm가 적합하다. 각 구멍과의 간격은 1m 정도면 한 눈에 3~4개의 찌를 확인할 수 있다. 얼음낚시에서는 붕어의 입질이 시원치 않기 때문에 찌가 조금만 잠기거나 살며시 솟을 때 챔질하면된다.

▨평지형 저수지와 수로

농경지에 있는 저수지는 일단 결빙되면 수초나 갈대밭에서 붕어 입질이 활발하다. 오전에는 중상류나 개울 주변의 얕은 곳이 포인트며 햇살이 퍼지는 오전에는 여러 곳을 탐색해야 한다. 정오부터 오후 2시 사이에는 수심 1m 내외의 얕은 곳이 수온 상승이 빨라 붕어가 몰린다. 평지형 저수지에서는 항상 수초지를 의지해야 한다. 수초밭은 수온 상승도 빠르고 특히 산소 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에 붕어의 군집처. 평지형 저수지나 수로 같은 수심이 얕은 포인트에서는 낮에는 30~40cm되는 곳에서 잘 낚인다. 이런 곳에서는 조용해야 하므로 가능한한 얼음구멍에서 멀리 떨어져 앉는다.

▨계곡형 저수지

햇살이 퍼지는 오전에는 수온이 상승하면서 붕어의 활동이 활발해져 중상류의 얕은 곳으로 나온다. 맨바닥보다는 먹이가 풍부하고 산소공급이 원활한 수초밭이 보금자리. 포인트는 수심 2m 안팎의 수초나 장애물이 있는 곳이면 무난. 계곡형 저수지에서는 붕어의 씨알은 굵으나 마리수는적다. 입질이 뜸해도 끈기있게 기다리는 인내심이 필요. 한 포인트를 고집하지 않고 여러곳을 뚫는다.

▨채비

겨울에는 붕어 입질이 약해 채비가 섬세해야 한다. 낚싯줄은 2호 목줄 1~1.5호 바늘은 망상어 6~7호가 적합하다. 얼음낚시 채비에서는 찌가 가장 중요한데 막장대를 사용할 때는 고정찌를, 릴낚시에서는 유동찌를 사용한다. 찌의 길이는 30cm 전후가 알맞다.

▨지렁이 사용법

얼음낚시의 미끼는 지렁이. 굵고 싱싱해야 한다. 굵은 지렁이가 없으면 작은 지렁이 3~4마리를 누벼 꿰도 된다. 잔챙이 붕어가 낚이는 곳에서는 지렁이도 작은 것을 꿰야 한다.▨낚시 장비 준비

얼음 구멍에서 3~4m 떨어져 낚시하므로 막장대(민물낚싯대)와 릴낚싯대를 사용한다. 길이 4m 내외로 2~3대를 준비한다. 얼음낚시용 릴낚시 장비 가격은 스피닝릴이 2만원, 드럼닐은 2만5천원,플라이닐은 1만5천원선. 구멍에 살얼음이 끼면 찌나 낚시줄이 얼어 낚시하기 불편하므로 살얼음을 떠내는 뜰채가 필요하다. 글래스롯드 재질이 5천~7천원선. 얼음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얼음끌은 2만원선. 의자는 7천~1만원선.

▨방한 장비 준비

추운날 얼음판 위에서 장시간 낚시하려면 무엇보다 방한에 신경쓰야 한다. 방한복, 방한화, 모자,장갑, 주머니난로, 1회용 보온기구, 보온병등을 준비한다.

〈申道煥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