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들 M&A시장 주요타깃으로 노출

입력 1996-10-04 14:07:00

"지역경제계 대비책 전혀 없어"

내년부터 공공적 법인을 제외한 모든 상장법인 주식의 소유제한이 폐지돼 M&A(기업인수합병)가가속화될 전망이나 지역경제계의 대비책이 전혀 없어 지역기업들이 M&A시장의 주요타깃으로 노출될 전망이다.

특히 금융시장 개방폭이 커지면서 지역2금융권이 M&A주요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정보력 부족으로 M&A가 끝난뒤에야 사후약방문 식 대책강구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 문제가 되고 있다.상장법인의 경영권 보호를 위해 현행 증권거래법상 규정된 10%%이상 소유제한규정이 내년부터는크게 완화된다. 내년1월부터 발효되는 개정법에는 10%%이상 취득시 공개매수 또는 대주주와의 직접거래를 통하도록 규정한 200조가 사실상 폐지돼 공공적 법인을 제외한 모든 상장법인의 주식소유가 자유화된다.

그러나 지역의 경우 M&A전문 컨설팅업체가 전혀 없는데다 정보부족, M&A무관심등이 겹쳐 소유제한이 엄격한 현상황에서도 최근 대구종금사태에서 보듯 경영권 인수를 위한 주식 대량매매를기존 대주주는 물론 대구종금 임원진도 전혀 낌새를 채지못해 눈뜨고 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특히 대구종금경우는 주식매각 상당기간전 증시주변에 M&A소문이 파다하게 퍼졌으나 대응책마련을 소홀히 했다는 비난을 면치못하고 있다.

지난 94년에는 고려증권이 대구은행의 주식을 대량매집, 뒤늦게 이를 알게된 은행측이 진상파악과 대책마련에 허둥된 경우도 있다.

지역증권 관계자들은 소유제한 완화와 함께 해외금융자본이 본격적으로 유입되면 지역금융기관상당수가 M&A대상으로 떠오를수밖에 없다 며 상의등 지역경제계 차원의 M&A 대응책 마련이시급한 실정 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