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뇌세포의 위축으로 기억력을 포함, 뇌기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초기에 진단하면 경과를 호전시킬 수 있는 약물을 사용해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나이가 들면서 물건의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건망증으로 치매를 걱정하며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건망증과 치매는 다르며, 다른 인지기능장애와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어야 치매로 진단하게 된다. 치매의 진단은 의사의 도움을 받아야하지만 세 가지 물건(예를 들어서 시계, 연필, 소나무)의 이름을 말해주고 1분 뒤에 기억하는지를 보는 회상(recall)검사가 도움이 된다.
치매 예방에는 고혈압, 고지혈증, 흡연 같은 뇌 중풍 위험요인을 잘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의학협회지에 게재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나이든 사람들이 쉽게 할 수 있는 걷기 운동도 치매 예방의 효과가 크다. 치매위험이 있는 고령 노인 가운데 걷기를 가정 적게 한 노인들은 많이 걸은 노인에 비해 치매가 1.8배나 많이 생겼다. 하루에 1km 정도라도 걷는 것은 치매 예방에 큰 도움이 됐고, 하루 3.2km 정도가 노인에게 충분한 양이다.
걷기는 노인들도 부담없이 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다. 규칙적인 걷기는 암을 예방하고 심장병, 뇌 중풍,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지기능을 개선하고 치매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걷지 않으면 건강은 없다. 김대현(계명대 동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방탄 유리막' 안에서 유세…대선 후보 최초
'TK 지지율' 김문수·이준석 연일 상승세…이재명은?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김문수 41.6% '오차범위 내'
전한길 "은퇴 아닌 사실상 해고…'좌파 카르텔'로 슈퍼챗도 막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