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경북대 미래창직관 창의스퀘어 2층에서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권역별 현장간담회' 개최
교수·학생·지자체 한목소리 "인력·인프라·재정 지원 절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이 28일 경북대를 찾아 학생·교수·지자체 관계자 등과 머리를 맞대고 지역 대학을 어떻게 키워갈지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오후 2시 대구 북구에 있는 경북대 미래창직관 창의스퀘어에서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 권역별(대구·경북·강원권) 간담회가 개최됐다. 교육부는 이날 첫 권역별 현장간담회를 연 데 이어, 향후 다른 지역에서도 간담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 장관을 비롯한 교육부 관계자와 허영우 경북대 총장, 정재연 강원대 총장이 참석했다. 여기에 학생과 교수는 물론 지자체 및 기업 관계자 등 10여 명이 함께 모여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한준구 경북대 모바일공학과 학부장은 "모바일공학과는 사실상 전자공학부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데, 최근 자율전공이 신설되면서 내년 2학년 과정에는 약 750명이 전자공학부 소속이 된다"며 "현재 72명의 교수로는 이들을 감당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교원 확충이 시급한 만큼 교육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정지욱 모바일공학과 학생회장은 "실습 교과목을 위한 최신 개발 장비를 보다 확충해주면 좋겠다. 기업 연계 현장 실습 프로그램이 꾸준히 확대된다면 진로를 구체화하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박대현 경북RISE센터장은 "우리나라는 아직 규제와 절차가 많다. 대학이 보다 자율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재정 사업을 과감히 집행할 수 있도록 대학에 보다 많은 자율권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 정주 청년 지원과 지자체 재정 부담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컸다.
대구 지역 컴퓨터 프로그래밍 서비스 기업인 ㈜코리아와이드 ITS의 최종태 대표이사는 "청년 지방 정착을 위한 '마일리지 제도'가 필요하다"며 "지방은 재정 여건상 청년 지원 정책이 수도권보다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지역에서 취업해 경력을 쌓는 청년들에게 문화·교통 바우처 등 실질적 혜택을 제공한다면 지역에 머무를 동기가 커질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은아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대구는 GRDP(지역내총생산)가 전국에서 가장 꼴찌고, 라이즈 사업을 추진할 때 드는 국비에 시비를 매칭하는 것도 굉장히 힘들다. 지자체의 재정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교육부는 각 권역 현장간담회에서 모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연말까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안을 수립하겠다는 방침이다.
최 장관은 "오늘 제안해 주신 말씀들을 경청해 다양한 대학 혁신 사례들이 전국 대학에 확산돼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규제 개선과 재정 등 교육부가 해야 할 일들을 열심히 찾아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