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만 관련 발언 수위 조절 필요"
日 관방장관 "그런 사실은 없다" 반박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을 두고 중·일 갈등이 점입가경이다. 급기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까지 나서 다카이치 총리에게 '대만 문제로 중국을 자극하지 말라'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미국과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다카이치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대만 관련 발언의 강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국회 답변 과정에서 대만 유사시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에 중국은 오사카 주재 중국 총영사가 엑스(X·옛 트위터)에 다카이치 총리를 겨냥해 '더러운 목을 벨 수밖에 없다'는 글을 올리는 등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총리에게 중국을 자극하지 말라고 언급한 것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1시간에 걸친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중 절반가량을 '중국이 역사적으로 대만에 대한 영유권을 지니고 있다'는 주장과 '미국과 중국이 세계 질서를 공동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데 쓴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통화에 이어 다카이치 총리에게 전화를 걸었다. '대만 관련 발언의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일종의 조언 수준이었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런 사실을 부인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기하라 미노루 관방장관은 27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WSJ 보도가 사실인지에 관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대만 주권에 관한 문제로 (다카이치 총리에게) 중국 정부를 도발하지 말라고 조언했다는 기술이 있지만, 그러한 사실은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해 둔다"고 말했다. 기하라 장관은 해당 보도 철회를 요청할 것인지와 관련해 "그러한 사실이 없기 때문에 이 점은 WSJ 측에도 의사 표시를 했다"며 사실상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