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문의만 했는데 생선 포장…젊은 손님 대상 '강매 논란' 확산
전통시장을 찾은 소비자들이 단순히 가격을 물어봤다는 이유로 생선을 강제로 손질당하거나 반말, 고성에 시달리는 사례가 공개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유튜버 '혼자햐'는 지난 12일 개인 채널에 '요즘 전통시장 가기 싫은 이유'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하며 서울의 한 재래시장에서 겪은 경험을 공유했다. 그는 새벽에 시장을 방문해 해산물 가격을 물었을 뿐인데, 아무런 대답 없이 생선을 담기 시작한 상인의 행동에 당혹감을 느꼈다고 밝혔다.
해당 영상에서 그는 "딱새우 가격이 얼마인지 물었는데 대꾸도 없이 갑자기 봉지에 담기 시작했다"며 "가격이 부담스러워 돌아보겠다고 말하자, 상인이 '왜 담게 했냐'며 소리를 질렀다"고 말했다.
이와 비슷한 상황은 다른 점포에서도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전어 가격을 확인하기 위해 물어본 뒤 아무런 구매 의사도 밝히지 않았지만, 상인이 생선을 물에서 꺼내 바로 손질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는 "또다시 고성이 오갈까 봐 어쩔 수 없이 구입했다"며 "가격이나 신선도의 문제가 아니라, 무언가 억지로 떠안은 느낌에 마음이 무거웠다"고 토로했다.
영상이 공개된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상에서는 유사한 경험담이 잇따랐다. 댓글에는 "나도 물어보기만 했는데 포장을 시작했다", "사려는 의사가 없다고 말했더니 노려봤다", "젊다고 무시하고 속이려 든다"는 반응이 이어졌고, 일부는 "시장 상인들 대부분이 그렇진 않지만, 이런 경험 한두 번쯤은 다 있다"는 반응도 나왔다.
이와 함께 전통시장 내에서 반복적으로 제기되어 온 구조적인 문제들도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바가지요금, 저울 눈속임, 불친절한 응대, 상한 상품 판매, 현금결제 강요 등 소비자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사례들이 고정적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최근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또 다른 유튜버가 겪은 일화가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그는 순대 8,000원을 주문했으나 1만 원 결제를 요구받았다고 주장했다. 해당 영상이 퍼지면서 시장 상인 전체를 향한 불신 여론이 거세지자, 광장시장 일반 점포 상인들이 집단 대응에 나섰다.
광장시장 내 일반 상점들은 문제의 원인을 노점상에 있다고 보고, 3억 원대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하기로 결정했다. 일반 점포 측은 "최근 논란이 된 바가지 판매 사례는 대부분 노점에서 발생한 일"이라며 "이로 인해 시장 전체 방문객 수가 줄고, 일반 상점들도 매출에 타격을 입고 있다"고 밝혔다.





